한국어교원자격증(2)
-
한국어 교육 석사 과정 논문 쓰기 7부 - 논문답게 논문 쓰기
안녕하세요 21세기이야기꾼입니다. 오늘은 논문답게 논문 쓰는 것에 대하여 이야기해보고자 합니다. 충분히 선행연구들을 보셨고, 연구 결과까지 나왔다면 이제 여러분은 논문을 쓰셔야합니다. 어디서부터요? 연구 결과와 결론부터죠 연구 결과까지 나왔는데 서론부터 쓰는 실수는 범하지 않으시길 바랍니다!! 그럼 바로 시작하겠습니다. 1. 연구방법, 연구 결과-결론-서론,이론적 배경 순으로 정리를 추천합니다 이유는 바로 서론의 함정에 빠지지 않기 위함입니다. 여러분은 이미 선행 연구들을 다 정리하셨을 것이고 여러분의 연구를 위한 이론적 배경과 연구 방법이 정리가 되어있는 상황일 것입니다. 그러면 연구 결과가 나왔을 때 바로 작성해야할 것은 연구 방법, 연구 결과, 결론 이 세 파트입니다. 앞 부분은 이미 여러분의 머릿..
2021.11.26 -
한국어교원자격증-대학원 과정으로 준비할 경우 유의해야할 사항
안녕하세요 21세기이야기꾼입니다. 저번 포스트에서 말씀드렸던 것처럼 오늘은 대학원 과정을 통해 한국어교원자격증을 취득을 하려는 분들에게 유용하게 다가갔으면 좋겠습니다!! 대학원은 크게 일반대학원과 교육대학원(특수대학원)으로 나뉩니다. 여러분들이 대학원을 가신다면 석사과정으로 시작하게 되실 텐데요. 일반대학원은 “한국어학”, 교육대학원은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 이런 식으로 전공 명칭이 나타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물론 학교마다 세세한 명칭은 다를 수 있습니다) 전공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이 일반대학원과 교육대학원의 차이를 어느정도 가늠하실 수 있으신가요?? 한국어학-외국어로서의 한국어에 대하여 공부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학-외국어로서의 한국어를 어떻게 가를칠 것인가에 대하여 공부 또한 교육대학원의 경우 ..
2021.1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