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이야기-애플(58)
-
애플 실리콘의 확장은 어디까지? 2부 - 이제는 M1 Pro/Max를 토대로
안녕하세요 21세기이야기꾼입니다. 오늘은 지난 애플 실리콘 확장과 관련하여 이어서 이야기를 해보겠습니다. 개인 관점이 많이 들어가있다는 점을 미리 밝힙니다. 1. 이제는 M1Pro/Max를 중심으로 확장된다 M1 Pro/Max는 M1을 기준으로 확장하였고 현재까지는 성공이라고 봐도 무방할 것 같습니다. 그리고 애플 실리콘으로의 전환을 선언한 후 1년이 지난 지금, 이제는 데스크톱 라인업들이 남았습니다. 기존의 인텔 라인업을 대체하면서 업그레이드가 되어야하는 애플 실리콘의 전환은 이제 새로운 도전을 마주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모바일 기기의 경우 배터리 성능도 매우 중요한 요소죠. 그런데 데스크톱 라인업은 이야기가 조금 다를 수 있습니다. 1. 노트북보다 더 큰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2. 배터리가 아니..
2021.12.04 -
애플 루머-아이폰SE 3세대가 내년 상반기에??
안녕하세요 21세기이야기꾼입니다. 오늘은 내년에 출시될 것이라고 이야기가 나온 아이폰 SE 3세대 소식으로 왔습니다. 1. 이번에는 어떤 모델을 다시 활용할 것인가? 아이폰 SE라인업은 아이폰5S를 활용했던 1세대와 아이폰 8을 활용했던 2세대가 있었죠. 그리고 그 이전에 아이폰5C라는 모델이 있었고 아이폰X가 나온 이후에 XR라인업이 SE 라인업은 아니었지만 SE의 포지셔닝과 유사하게 있었죠. 그런 SE라인업이 내년 상반기에 3세대가 나온다고 합니다. 지난 SE 2세대가 아이폰8의 폼팩터를 활용했다면 이번 SE 3세대는 아이폰 Xr의 폼팩터를 활용할 수도 있다고 합니다. 2. 주요 칩과 예상 성능은?? SE 2세대도 생각해보면 오래전 폼팩터를 썼다지만 주요 칩은 당시 최신이었던 A13이 들어갔죠. 무려..
2021.12.01 -
애플 실리콘 확장은 어디까지? 1부 -M1의 성공과 확장
안녕하세요 21세기이야기꾼입니다. 얼마 전 애플 실리콘 이야기를 하면서 아이맥 고급형의 경우 M1 Pro/Max와 같은 칩을 쓸 것이라고 했다가 M1 Pro/Max Duo 이야기로 보완을 한 적이 있었습니다. 그런데 최근 그 이야기들이 다시 불거져 나오고 있어 다시 한 번 포스팅을 해봅니다. 1. 무엇이 이러한 확장을 가능하게 했는가 생각해보면 CPU를 이렇게 확장해나간다는 것이 말로는 쉬울 수 있는데 그것을 구현하는 것은 생각보다 어렵습니다. 그런데 문제는 현재까지는 애플의 M1, M1 Pro/Max칩이 실패했다는 느낌을 주지는 않습니다. 오히려 성공했고, 이러한 성공을 또 보여줄 수 있을지 의문이 들 정도로 엄청난 성공이라고 볼 수 있죠. 물론 Intel이 지난 몇 년 간 CPU의 발전이 이렇다할만큼..
2021.11.29 -
생애 첫 M1 맥북 에어 사용기 - Keynote로 WWDC2019 따라해보기
안녕하세요 21세기이야기꾼입니다. 오늘은 Keynote를 활용하여 WWDC2019의 컨셉을 따라해보려고 합니다. Keynote 활용 관련 Youtube를 보던 중 저 이미지가 단순히 선들로만 이루어진 것 같아보여도 디자인 된 도형에 테두리를 입히고 배경색을 지워서 비슷한 모습을 보여주는 것을 보고 따라해보기로 결정했습니다. 1. 네온사인 효과를 구현해보자 - '테두리' 활용 배경색을 비슷하게 설정한 뒤에 텍스트를 올리고, 거기에 테두리를 입혀봤습니다. 사실 한글이든, PPT든 거의 쓰지 않았던 것으로 기억하는데 이번에 따라해본다고 테두리 기능을 사용해봤네요.... 단 테두리가 너무 두꺼우면 오히려 이상해질 수 있으므로 테두리의 폰트를 조절해가며 원하는 모습을 찾으시길 바랍니다. 2. 테두리를 입혔다면 테..
2021.11.27 -
생애 첫 M1 맥북 에어 사용기 - iMovie & Keynote
안녕하세요 21세기이야기꾼입니다. 오늘은 맥을 사면 기본으로 깔려있는 영상편집 프로그램인 iMovie와 프레젠테이션용 어플인 Keynote를 활용하여 연습을 해봤습니다. 1. iMovie는 직관적이다. 하지만 제공되는 것들만 사용할 수 있다. iMovie는 저처럼 영상편집을 막 입문한 사람들에게는 직관적이어서 익히기 쉽다는 장점이 있습니다(무료인 것도 장점이죠) 하지만 자막 관련해서 이야기하게 되면 약간 달라지는데요 자막 관련 여러 템플릿이 있지만 문제는 그 템플릿을 사용하여 자막을 만들 경우 자막의 위치를 바꿀 수 없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그래서 Youtube를 통해서 알아 본 결과 Keynote를 활용하면 우리가 보는 일반적인 중앙 하단에 위치한 자막을 만들 수 있다는 것을 보고 따라해보기로 마음먹었..
2021.11.25 -
생애 첫 M1 맥북 에어 사용기 - 키노트
안녕하세요 21세기이야기꾼입니다. 오랜만에 M1 맥북 에어 사용기로 찾아왔습니다. 오늘은 키노트를 조금, 정말 조금 연습해봤습니다. 키노트는 MS의 파워포인트에 해당하는 프로그램이죠 평소 애플 특유의 감성을 좋아하는 편이었고 이번에 그것을 저도 좀 활용해보고자 키노트를 통해 이런저런 연습을 해봤습니다. 먼저 시도해보려고 했던 것은 바로 이 템플릿이었습니다. 1. 일단 부딪혀보기! 위의 사진은 원래 기본 테마에서 텍스트만 바꿔본 사진입니다. 그리고 이것을 따라해보기 위해 기본 흰 바탕의 슬라이드와 검정 텍스트를 불러오고 가장 만만한 배경부터 바꿔봤습니다. 검정 도형을 채워넣고 수직 방향으로 약간의 그라데이션을 넣어봤다. 2. 난관 봉착-텍스트에 그라데이션을 넣어보자 기본 테마에 있는 그라데이션은 사실 촌스..
2021.1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