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드백(2)
-
한국어 교육 석사 과정 논문 쓰기 - 많이 맞아야 단단한 논문이 나옵니다.
안녕하세요 21세기이야기꾼입니다. 오늘은 논문 완성을 위해 여러분들이 많이 맞아야한다는 이야기로 찾아왔습니다. 많이 맞아야한다는 것이 무슨 의미인지 경험을 토대로 풀어보겠습니다. 1. 주위 사람들의 피드백을 무서워하지 마세요. 저도 어려워했고, 망설임이 많긴 했는데 많은 사람에게 보여주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이유 1. 놓치고 있던 논리적 흐름의 오류를 발견할 수 있다. 이유 2. 상대방에게 대답하면서 나의 연구에 대한 정리를 한 번 더 할 수 있다. 이유 3. 논리적 오류 뿐만 아니라 오,탈자도 확인할 수 있다. 이유 4. 논의를 통해 보다 나은 연구 자료를 확인할 수 있다. 저는 이렇게 네 가지 정도로 꼽을 수 있다고 보고 이유 1과 이유 2가 정말 중요한 점이라고 생각합니다...
2022.01.09 -
한국어교육 석사과정 논문쓰기 2부-커뮤니케이션도 요령이다
안녕하세요 21세기이야기꾼입니다. 오늘은 석사과정 2부로서 커뮤니케이션과 관련한 이야기를 해보려고 합니다. 누구와의 커뮤니케이션일까요? 바로 지도교수님과의 커뮤니케이션입니다. 해당 교수님을 보고 대학원을 지원했을 수도 있고 대학원에 와서 지도교수님을 선택할 수도 있지만 지도교수님이 계시다면 여러분의 논문은 지도교수님과의 커뮤니케이션 없이 독단적으로 진행될 수는 없습니다. 주제 설정부터 연구 설계, 연구 방법 등 여러분의 논문과 관련하여 모든 것들을 지도교수님과 의논을 해야합니다 그럼 무엇이 커뮤니케이션 요령인지 궁금해지겠죠? 당연하지만 의외로 잘 안지켜지는 것들입니다. 바로 대뜸 "교수님 논문 확인 부탁드립니다"식의 무턱대고 요청하는 것이죠. 여러분의 교수님은 바쁩니다. 그런데 무엇을 봐달라고 하는지, ..
2021.1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