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1. 9. 23:20ㆍ한국어교육 이야기
안녕하세요 21세기이야기꾼입니다. 오늘은 논문 완성을 위해 여러분들이 많이 맞아야한다는 이야기로 찾아왔습니다.
많이 맞아야한다는 것이 무슨 의미인지 경험을 토대로 풀어보겠습니다.
1. 주위 사람들의 피드백을 무서워하지 마세요.
저도 어려워했고, 망설임이 많긴 했는데 많은 사람에게 보여주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이유 1. 놓치고 있던 논리적 흐름의 오류를 발견할 수 있다.
이유 2. 상대방에게 대답하면서 나의 연구에 대한 정리를 한 번 더 할 수 있다.
이유 3. 논리적 오류 뿐만 아니라 오,탈자도 확인할 수 있다.
이유 4. 논의를 통해 보다 나은 연구 자료를 확인할 수 있다.
저는 이렇게 네 가지 정도로 꼽을 수 있다고 보고 이유 1과 이유 2가 정말 중요한 점이라고 생각합니다. 여러분이 논문을 쓰기 시작하면 여러분의 시각에 함몰되어 어느 순간 일필휘지처럼 수월하게 쓰여지는 시기가 분명히 존재하게 됩니다. 그런데 이 때 자기 집중력에 빠져서 생각보다 많은 논리적 오류들이 발견하지 못하는 경우가 생깁니다. 지도 교수님께서 확인해주실 수 있지만 아무래도 지도 교수님께서 지적해주는 것보단 여러분의 선에서 먼저 수정하는 것이 더 나은 건 당연하겠죠?
그리고 상대방에게 봐달라고 부탁할 경우 돌아오는 질문들이 있을 겁니다. 여러분은 여러분의 연구이기 때문에 당연하게 여길 수 있는 부분이 상대방에게는 그렇지 않을 수 있죠. 그 경우 여러분은 반드시 대답을 해줘야하는 상황이 오는데 이 때 생각보다 대답이 잘 안나올 수도 있습니다. 또한 여러분의 대답과 여러분 연구의 논리적 흐름이 맞지 않게 될 경우도 종종 발생하죠. 지도 교수님 앞에서 이런 모습을 보이면 연구 피드백이 아니라 공부를 안했다는 식의 소리를 들을 수 있을 겁니다. 그 전에 여러분들의 동기 또는 지도 교수님의 박사 과정 선생님께 피드백을 요청해보세요. 그리고나서 여러분의 논문을 한 번 정리한 후에 지도 교수님께 피드백을 요청해보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2. 졸업 논문은 혼자 쓰는 것이 아닙니다.
이렇게 여러 사람들에게 보여줌으로써 여러분 연구의 논리적인 오류를 포함하여 디테일하게는 오탈자, 비문 등을 확인할 수 있으며, 논리 구조도 보다 탄탄하게 만들 수 있는 기회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하지만, 여러 사람들에게 보여줘서 피드백을 받고 수정하는 것도 어느정도 선이 있어야합니다. 바로 여러분의 연구에 흐르는 큰 줄기가 변경되지 말아야한다는 것이죠. 지도 교수님의 피드백이 아닌 여러분들의 동기 또는 박사 과정 선생님들의 피드백은 참고를 하셔야합니다. 이들의 피드백이 절대적이지는 않지만 도움을 받을 수 있죠. 하지만 지도 교수님의 피드백은 그 위치가 매우 다릅니다.
여러 사람들에게 보여주고 피드백을 받았다고 가정하죠. 그래도 여러분의 생각이 맞다고 생각한다면 여러분은 그 피드백을 취하지 않아도 상관은 없습니다. 그런데 지도 교수님의 피드백을 무시한다면..................... 다음은 이야기하지 않겠습니다.
여러분이 연구 논문을 작성하는 것은 물론 여러분 스스로가 하시는 것이지만 자칫 잘못하다가는 혼자만의 세계 속에서 논리적 흐름이 맞고, 그 근거 또한 논리적 타당성이 충분하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다른 사람들이 보게 되면 그들은 "왜?"라는 질문이 쏟아질 것입니다. 그들의 질문이 여러분의 논문을 세련되고 탄탄하게 만들어 줄 것입니다. 그리고 그렇게 연습이 되면 지도 교수님과의 논문 관련 대화에서도 여러분은 연구자로서의 모습을 충분히 보여줄 수 있을 것입니다.
오늘의 포스팅은 이렇게 마무리하겠습니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연구와 관련하여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에서 많이 쓰는 통계 자료에 대하여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한국어교육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학기말 보고서를 바라보는 관점을 바꿔봅시다-논문 작성 연습의 기회로 (0) | 2022.04.05 |
---|---|
논문주제 생각해보기-여러분이 하고싶은 한국어교육은 어떤 분야인가요? (0) | 2022.01.28 |
한국어 교육 석사 과정 논문 쓰기 - 외전 (0) | 2021.12.30 |
한국어 교육 석사 과정 논문 쓰기 - 마지막 (0) | 2021.12.11 |
한국어 교육 석사 과정 논문 쓰기 10부-초록은 미리 (0) | 2021.1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