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5)
-
논문주제 생각해보기-여러분이 하고싶은 한국어교육은 어떤 분야인가요?
안녕하세요 21세기이야기꾼입니다. 오늘은 자료나, 기사, 데이터, 인용이 곁들여진 포스팅보다는 제 생각을 자유롭게 이야기해보고자 합니다. 물론 이런 생각을 하다보면 여러분이 하고 싶은 논문 주제에 대해서도 방향을 찾을 수 있기"도" 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에 대한 풀이는 어디까지나 이해를 위하여 다소 극단적으로 쉽게 표현된 부분이 있을 수 있음을 미리 밝힙니다. 1. 특수 목적 한국어 학습자 vs 일반 목적 한국어 학습자 특수 목적이라면 무엇이 있을까요? 의료, 전문 연구, 대학 진학 등이 있겠죠? 반대로 이렇게 특수한 또는 특정 목적이 있는 것이 아니라 한국의 문화가 좋아서든지, 한국어라는 언어 그 자체가 좋아서라든지 말 그대로 특정한 목적이 없이 배우려는 학습자가 있겠죠? 물론 이렇게..
2022.01.28 -
한국어 교육 석사 과정 논문 쓰기 - 외전
안녕하세요 21세기이야기꾼입니다. 한국어 교육 석사 과정 논문 쓰기 외전으로 오랜만에 인사드립니다. 외전이라고 썼지만 그동안 논문 쓰기 컨텐츠를 작성하면서 놓쳤던 부분을 다뤄보거나, 제가 논문 썼을 때의 경험을 이야기를 해보는 시간을 가져보려고 합니다. 외전이 또 몇 부작으로 갈지는 모르겠지만 그래도 최대한 재미있게 작성해보겠습니다. 1. 각주에는 무엇을 어떻게 쓰면 되는가 여러분들이 선행 연구들을 보시다 보면 여러가지 각주 내용들을 보셨을 것입니다. 첫 번째로는 해당 문구의 출처를 적을 때도 있고, 두 번째로는 해당 문구에 대하여 연구자 본인의 생각을 자유롭게 쓰는 경우도 있죠. 세 번째는 본문에 싣기는 모호하지만 연구자 본인이 그래도 언급을 하는 것이 좋다고 판단할 경우를 들 수 있습니다. 첫 번째의..
2021.12.30 -
한국어 교육 석사 과정 논문 쓰기 - 마지막
안녕하세요 21세기이야기꾼입니다. 논문관련 이야기를 이제 마무리 지어보고자합니다. 그럼 여러분들께 하지 않았던 이야기 바로 서론과 이론적 배경 관련하여 정리를 해보고자 합니다. 1. 서론의 함정에 빠지지 말라는 말은 서론을 아예 손 놓고 있으라는 말이 아닙니다. 제가 논문을 쓰면서 가장 주의해야할 부분으로 서론의 함정에 빠지지 말라는 것을 꼽았습니다. 이는 서론만 쓰다가 완료 시점을 앞두고 더 중요한 부분에 신경 써야할 때 신경쓰지 못하는 것을 우려하여 말씀드린 것이지 아예 쓰지도 말라고 하는 것은 아님을 밝힙니다. 서론을 접근하는 방법을 쉽게, 쉽게 보자면 보통 거시적인 배경-보통은 시대적 당위성을 제시하죠-을 언급한 후, 현재 연구의 부족함을 어필하며, 본고의 연구의 당위성을 제시하면서 시작을 한다고..
2021.12.11 -
한국어 교육 석사 과정 논문 쓰기 9.5부 - 같은 그림 다른 퀄리티
안녕하세요 21세기 이야기꾼입니다. 오늘은 짧고 간단하게 이야기하고 가겠습니다. 지난 포스트에서 표와 그림을 잘 활용하라고 말씀을 드렸었죠? 그래서 여러분이 여러 논문이나 원서를 확인하시다 인용을 하기 위해 그 논문의 그림이나 표를 가져와서 그림을 싣고 하단에 [그림N] 항목 표기를 하고 간단한 설명 및 출처를 적었다고 가정을 해보죠 1. 선명도가 논문의 퀄리티를 올려줍니다. 그런데 그 표와 그림이 흐릿하다면.......? 여러분! 여러분이 본 그림이나 표는 모니터를 통해서 보는 것이지만 종이에 실린다는 것을 잊지 마세요 즉 여러분이 작업하면서 괜찮았던 표나 그림이 인쇄를 해서 보니 흐릿하다면 그것들을 다시 재작업을 하셔야합니다. 어떻게요? 수작업입니다. 고화질 버전을 다운 받을 수 없다면 여러분이 최대..
2021.12.03 -
한국어교육 석사과정 논문 쓰기-글쓰기 연습으로 시작
안녕하세요 이야기꾼입니다. 오늘은 대학원 과정에서 주의해야할 것들을 이어서 진행하겠습니다. 영역 별 이수학점을 확인하셨다면 이번에는 바로 글쓰기입니다. 여러분들께서는 얼마나 많은 글을 “써보셨나요?” 많이 읽어보셨다면 그것도 쓰는 것에 도움이 되겠지만 여러번 쓰는 것만큼 글쓰기에 도움이 되는 것은 없죠 갑자기 웬 글쓰기인가 싶죠? 여러분은 대학원을 “수료”가 아니라 “졸업”을 하셔야합니다. 몇몇 특수대학원의 경우 논문을 쓰지 않고도 졸업을 할 수 있는 방법이 있지만 개인적으로는 힘들고 어렵더라도 논문을 쓰고 졸업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논문을 쓴다는 것은 단순히 글 하나를 쓰는 것이 아니라 대학원 과정에서 연구한 것들을 “논리적인”흐름에 따라 “양식에 맞게” 작성을 하고, 그것을 토대로 다른 연구원들과 소..
2021.1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