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교육 이야기(24)
-
이야기꾼의 주간 한국어 뉴스(2021114~20211120)
안녕하세요 21세기이야기꾼입니다. 오늘은 주간 한국어 관련 뉴스로 찾아왔습니다. 1. 세종학당-포스코청암재단과 손잡고 외국인 장학생에 한국어, 한국문화 교육 지원 지난 11월 15일, 서초구 세종학단재단에서 포스코청암재단과 외국인 장학생에 한국어, 한국문화 교육 지원을 위한 업무협약이 진행되었다고합니다. 이번 협약으로 장학생들은 온라인 세종학당재단을 통해 한국어교육을 받을 수 있고 추후 한국문화 체험의 기회도 제공받을 수 있다고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세종학당재단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2. 한국국제교류재단(KF), 워싱턴에 '한미 미래센터'개소 지난 11월 16일 KF워싱턴에 한미미래센터를 개소했다고 밝혔습니다. 한미미래센터는 한미 양국의 전문가들이 모여 한미간의 주요 사안들을 다룰 수 있..
2021.11.20 -
한국어 교육 석사 과정 논문 쓰기 5부-서론의 함정에 빠지지 마세요
안녕하세요 21세기이야기꾼입니다. 오늘은 주제가 정해지고 논문을 작성할 때 많이들 하는 실수 아닌 실수를 말씀드리고자 합니다. 1. 서론의 함정에 빠지지 마세요 논문을 써야하니까 서론부터 쓰게 될 겁니다. 그런데 조금만 침착하게 생각해보죠 서론은 보통 연구의 목적, 필요성을 언급합니다. 여러분들은 이미 연구 논문 주제를 잡으면서 여러 선행연구들을 보셨을 것이고, 그것들을 토대로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이 어느정도 머릿속에서 정리가 되어있으실 겁니다. 그렇다는 것은 서론은 이미 어느정도 끝났다는 것이죠. 다만 타이핑이 되어있지 않은 상태일 뿐이죠. 그렇다면 여러분이 먼저 작성해야할 부분은 어디일까요? 2. 연구 결과가 나왔다면 바로 연구 결과 파트와 결론부터!!! 바로 연구결과부터 작성하시기를 추천합니다. ..
2021.11.19 -
한국어교육 석사과정 논문 쓰기 4부-정렬 및 정리의 생활화
안녕하세요 21세기이야기꾼입니다. 오늘의 이야기는 그 때 그 때 하면 별 것 아니지만 몰아서 하게 될 경우 굉장히 귀찮아지는 것과 관련하여 이야기를 해볼까합니다. 바로 논문 및 인용할 내용 정리입니다. 대부분의 논문 검색은 RISS에서 하시게 될텐데요 여기서 다운 받은 논문들의 파일명을 미리 서지정보에 맞게 정리를 해놓으시기 바랍니다. 여러분이 논문 하나를 다운 받았다면 바로 이름(연도), 논문 제목, 발행처, 발행지 및 권과 호, 페이지 등을 미리 정리하시기 바랍니다. 서지정보의 경우 해당 논문을 선택하시면 보실 수 있습니다. 만약 이러한 서지정보를 어떻게 작성해야하는지 모르겠다? 그러면 여러분들의 선배들의 학위 논문을 보시기 바랍니다. 왜냐하면 서지 정보라는 것이 큰 틀에서는 거의 비슷하지만 학교마다..
2021.11.18 -
한국어교육 석사과정 논문 쓰기 3.5부-학회와 학술지 논문을 활용하라
안녕하세요 21세기 이야기꾼입니다. 오늘은 지난 번 논문 주제 선정과 관련하여 약간 보충적인 이야기를 해보고자합니다. 연구 주제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선행연구들을 많이 읽어보라고 이야기 드렸었죠?? 그런데 문제는 그 연구들 중 무엇을 읽어야 하느냐가 참 어렵습니다. 주제를 선정하기 위해 읽어야 할 논문이 따로 있는 것도 아닌데 무엇을 봐야할까요? 정답은 아니지만 제가 추천하는 방법은 해당 전공의 주요 학회의 학술지 논문을 먼저 확인해보는 것을 추천합니다. 기간은 조금 넉넉하게 5년정도로 두고 그 학회에서 어떠한 주제로 어떤 논문들이 나왔었는지를 확인해보는 것도 방법일 수 있습니다. 학회의 주제들을 보다 보면 해당 전공의 최신 흐름을 어느정도나마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죠 물론 처음부터 여러분들이 하고싶은 연..
2021.11.17 -
한국어교육 석사과정 논문쓰기 3부-연구 주제는 꾸준히 공부한 자가 찾을 수 있습니다.
여러분이 한국어 교육 석사 과정에 들어왔다면 수료가 아닌 졸업을 하기 위해서는 논문을 쓰셔야 합니다. (논문을 쓰지 않고 마지막 학기에 수업을 들어서 졸업하는 방법도 있지만 저는 힘들더라도 논문을 쓰는 것을 추천합니다) 문제는 논문을 쓰는 것은 둘째치고 바로 주제를 어떻게 잡아야하냐는 것이겠죠 사실은......... 무조건적인 정답은 없습니다. 뭐가 됐든 선행연구들을 보시고, 비판적인 시각으로 접근을 하는 방법밖에요... 논문 주제를 잡기 위해서는 선행연구를 봐야합니다. 물론!!!! 여러분이 관심이 있는 분야에 대한 선행연구죠 주제를 찾기위해 선행 연구들을 보신다면, 너무 오래 전의 연구들은 추천하지 않습니다. 오래된 연구의 경우 해당 분야의 연구의 역사로서의 의의는 있겠지만........... 저는 개..
2021.11.16 -
한국어능력시험(TOPIK)이란?
안녕하세요. 21세기이야기꾼입니다. 오늘은 한국어능력시험에 대하여 간단하게 이야기해보고자 합니다. KBS한국어능력시험이 아닌 토픽(TOPIK)에 대한 이야기를 해볼까 합니다. 외국인 학생들이 우리나라 대학에 들어가기 위해서는 일정 수준 이상의 토픽 급수가 있어야 할 정도로 공신력이 있는 시험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최근에 큰 변화가 있었죠? 바로 토픽 말하기 시험입니다. 토익 스피킹, 오픽 등 영어 말하기 시험들은 한 번쯤 들어보셨을 겁니다. 아직은 시범단계이지만 정식으로 진행된다면 의사소통 능력을 검증하는 기준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1차 시범 시험은 지난 10월 23일에 진행되었으며 2차 시범 시험은 12월 18일에 진행될 예정입니다. 2차 시범 시험 모집은 11월 15일부터 26일까지라..
2021.1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