졸업논문(12)
-
한국어 교육 석사 과정 논문 쓰기 7부 - 논문답게 논문 쓰기
안녕하세요 21세기이야기꾼입니다. 오늘은 논문답게 논문 쓰는 것에 대하여 이야기해보고자 합니다. 충분히 선행연구들을 보셨고, 연구 결과까지 나왔다면 이제 여러분은 논문을 쓰셔야합니다. 어디서부터요? 연구 결과와 결론부터죠 연구 결과까지 나왔는데 서론부터 쓰는 실수는 범하지 않으시길 바랍니다!! 그럼 바로 시작하겠습니다. 1. 연구방법, 연구 결과-결론-서론,이론적 배경 순으로 정리를 추천합니다 이유는 바로 서론의 함정에 빠지지 않기 위함입니다. 여러분은 이미 선행 연구들을 다 정리하셨을 것이고 여러분의 연구를 위한 이론적 배경과 연구 방법이 정리가 되어있는 상황일 것입니다. 그러면 연구 결과가 나왔을 때 바로 작성해야할 것은 연구 방법, 연구 결과, 결론 이 세 파트입니다. 앞 부분은 이미 여러분의 머릿..
2021.11.26 -
한국어 교육 석사 과정 논문 쓰기 6-2부 - 학위 논문 활용하기
안녕하세요 21세기이야기꾼입니다. 오늘은 학위논문 활용법에 대하여 간단하게 설명해드리고자 합니다. 바로 시작하겠습니다. 1. 학위 논문은 잘 사용하면 좋지만 그렇지 않을 경우 독!!! 전의 포스트에서 되도록이면 학술지 논문을 많이 참고하라고 말씀드렸습니다. 그런데 여러분이 논문을 준비하시다 보면 이론적 배경 파트를 단순히 학술지 논문으로만 참고하는게 영 쉬운 일은 아닙니다. 그래서 학위 논문을 보게 되는 상황이 오게 되는데요 교수님들마다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기본적으로 여러분이 석사 학위 논문을 작성하고 있는데 동급의 석사 학위 논문을 참고하여 인용한다는 것은 자칫 여러분이 공부를 덜했다는 인상을 심어줄 수 있습니다. 저는 이전 기수 선배들의 논문발표회에서 특히 석사 학위 논문을 인용한 것을 두고 그 ..
2021.11.24 -
한국어 교육 석사 과정 논문 쓰기 6-1부 - 재인용? NO! 원서 확인!!
안녕하세요 21세기이야기꾼입니다. 오늘은 논문을 인용하면서 많이 하는 실수 중 하나이며 논문의 퀄리티를 효과적으로 떨어뜨릴 수 있는 방법을 이야기해보겠습니다. 1. 재인용은 되도록이면 피하세요! 제2언어교육, 그 중 한국어교육은 다른 선진국들과 비교하면 비교적 후발주자에 속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반대로 여러분이 참고할 해외 논문은 굉장히 많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어떤 논문을 어떤 키워드로 어디에서 검색해야할지 모른 상황에서 우연히 한 국내 논문에서 마음에 드는 문구를 발견했다고 가정을 해보죠! 가나다(2020)의 연구에서 "ABCD(2016)에서는 불안과 학업 성취도가 언제나 부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여주는 것은 아니라고 하였다" 이런 문구를 보았다고 가정을 해보죠. 그럼 여러분이 가나다(2020)..
2021.11.22 -
한국어 교육 석사 과정 논문 쓰기 5부-서론의 함정에 빠지지 마세요
안녕하세요 21세기이야기꾼입니다. 오늘은 주제가 정해지고 논문을 작성할 때 많이들 하는 실수 아닌 실수를 말씀드리고자 합니다. 1. 서론의 함정에 빠지지 마세요 논문을 써야하니까 서론부터 쓰게 될 겁니다. 그런데 조금만 침착하게 생각해보죠 서론은 보통 연구의 목적, 필요성을 언급합니다. 여러분들은 이미 연구 논문 주제를 잡으면서 여러 선행연구들을 보셨을 것이고, 그것들을 토대로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이 어느정도 머릿속에서 정리가 되어있으실 겁니다. 그렇다는 것은 서론은 이미 어느정도 끝났다는 것이죠. 다만 타이핑이 되어있지 않은 상태일 뿐이죠. 그렇다면 여러분이 먼저 작성해야할 부분은 어디일까요? 2. 연구 결과가 나왔다면 바로 연구 결과 파트와 결론부터!!! 바로 연구결과부터 작성하시기를 추천합니다. ..
2021.11.19 -
한국어교육 석사과정 논문 쓰기 4부-정렬 및 정리의 생활화
안녕하세요 21세기이야기꾼입니다. 오늘의 이야기는 그 때 그 때 하면 별 것 아니지만 몰아서 하게 될 경우 굉장히 귀찮아지는 것과 관련하여 이야기를 해볼까합니다. 바로 논문 및 인용할 내용 정리입니다. 대부분의 논문 검색은 RISS에서 하시게 될텐데요 여기서 다운 받은 논문들의 파일명을 미리 서지정보에 맞게 정리를 해놓으시기 바랍니다. 여러분이 논문 하나를 다운 받았다면 바로 이름(연도), 논문 제목, 발행처, 발행지 및 권과 호, 페이지 등을 미리 정리하시기 바랍니다. 서지정보의 경우 해당 논문을 선택하시면 보실 수 있습니다. 만약 이러한 서지정보를 어떻게 작성해야하는지 모르겠다? 그러면 여러분들의 선배들의 학위 논문을 보시기 바랍니다. 왜냐하면 서지 정보라는 것이 큰 틀에서는 거의 비슷하지만 학교마다..
2021.11.18 -
한국어교육 석사과정 논문쓰기 3부-연구 주제는 꾸준히 공부한 자가 찾을 수 있습니다.
여러분이 한국어 교육 석사 과정에 들어왔다면 수료가 아닌 졸업을 하기 위해서는 논문을 쓰셔야 합니다. (논문을 쓰지 않고 마지막 학기에 수업을 들어서 졸업하는 방법도 있지만 저는 힘들더라도 논문을 쓰는 것을 추천합니다) 문제는 논문을 쓰는 것은 둘째치고 바로 주제를 어떻게 잡아야하냐는 것이겠죠 사실은......... 무조건적인 정답은 없습니다. 뭐가 됐든 선행연구들을 보시고, 비판적인 시각으로 접근을 하는 방법밖에요... 논문 주제를 잡기 위해서는 선행연구를 봐야합니다. 물론!!!! 여러분이 관심이 있는 분야에 대한 선행연구죠 주제를 찾기위해 선행 연구들을 보신다면, 너무 오래 전의 연구들은 추천하지 않습니다. 오래된 연구의 경우 해당 분야의 연구의 역사로서의 의의는 있겠지만........... 저는 개..
2021.1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