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교육 이야기(24)
-
학기말 보고서를 바라보는 관점을 바꿔봅시다-논문 작성 연습의 기회로
안녕하세요 21세기이야기꾼입니다. 오랜만에 인사드립니다. 오늘은 그동안 논문 작성 요령과 관련하여 포스팅을 했는데 이번에는 그래서 그것들을 활용하기 위한 방법과 관련하여 포스팅을 해보고자 합니다. 1. 기말 과제 보고서로 논문 작성 연습을 한다고 생각하십시오 사실 특수대학원을 다니신다면 전공 수업 외에도 교직 수업을 들으셔야하는데, 논문작성과 관련된 수업이 있다면 반드시 꼭 들으시기를 바랍니다. 여러분이 대학원 몇 기에 있든, 들을 수 있다면 무조건 들으시기를 바랍니다. 적어도 안 듣고 쓰는 것 보다는 한 번이라도 듣는 것이 확실히 여러분에게 도움이 될 테니까요 자 여러분! 여러분의 과정이 5학기에 끝난다고 가정하면 매우 높은 확률로 수업은 4학기까지 듣고, 마지막 5학기는 논문 학기가 될 것입니다. 그..
2022.04.05 -
논문주제 생각해보기-여러분이 하고싶은 한국어교육은 어떤 분야인가요?
안녕하세요 21세기이야기꾼입니다. 오늘은 자료나, 기사, 데이터, 인용이 곁들여진 포스팅보다는 제 생각을 자유롭게 이야기해보고자 합니다. 물론 이런 생각을 하다보면 여러분이 하고 싶은 논문 주제에 대해서도 방향을 찾을 수 있기"도" 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에 대한 풀이는 어디까지나 이해를 위하여 다소 극단적으로 쉽게 표현된 부분이 있을 수 있음을 미리 밝힙니다. 1. 특수 목적 한국어 학습자 vs 일반 목적 한국어 학습자 특수 목적이라면 무엇이 있을까요? 의료, 전문 연구, 대학 진학 등이 있겠죠? 반대로 이렇게 특수한 또는 특정 목적이 있는 것이 아니라 한국의 문화가 좋아서든지, 한국어라는 언어 그 자체가 좋아서라든지 말 그대로 특정한 목적이 없이 배우려는 학습자가 있겠죠? 물론 이렇게..
2022.01.28 -
한국어 교육 석사 과정 논문 쓰기 - 많이 맞아야 단단한 논문이 나옵니다.
안녕하세요 21세기이야기꾼입니다. 오늘은 논문 완성을 위해 여러분들이 많이 맞아야한다는 이야기로 찾아왔습니다. 많이 맞아야한다는 것이 무슨 의미인지 경험을 토대로 풀어보겠습니다. 1. 주위 사람들의 피드백을 무서워하지 마세요. 저도 어려워했고, 망설임이 많긴 했는데 많은 사람에게 보여주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이유 1. 놓치고 있던 논리적 흐름의 오류를 발견할 수 있다. 이유 2. 상대방에게 대답하면서 나의 연구에 대한 정리를 한 번 더 할 수 있다. 이유 3. 논리적 오류 뿐만 아니라 오,탈자도 확인할 수 있다. 이유 4. 논의를 통해 보다 나은 연구 자료를 확인할 수 있다. 저는 이렇게 네 가지 정도로 꼽을 수 있다고 보고 이유 1과 이유 2가 정말 중요한 점이라고 생각합니다...
2022.01.09 -
한국어 교육 석사 과정 논문 쓰기 - 외전
안녕하세요 21세기이야기꾼입니다. 한국어 교육 석사 과정 논문 쓰기 외전으로 오랜만에 인사드립니다. 외전이라고 썼지만 그동안 논문 쓰기 컨텐츠를 작성하면서 놓쳤던 부분을 다뤄보거나, 제가 논문 썼을 때의 경험을 이야기를 해보는 시간을 가져보려고 합니다. 외전이 또 몇 부작으로 갈지는 모르겠지만 그래도 최대한 재미있게 작성해보겠습니다. 1. 각주에는 무엇을 어떻게 쓰면 되는가 여러분들이 선행 연구들을 보시다 보면 여러가지 각주 내용들을 보셨을 것입니다. 첫 번째로는 해당 문구의 출처를 적을 때도 있고, 두 번째로는 해당 문구에 대하여 연구자 본인의 생각을 자유롭게 쓰는 경우도 있죠. 세 번째는 본문에 싣기는 모호하지만 연구자 본인이 그래도 언급을 하는 것이 좋다고 판단할 경우를 들 수 있습니다. 첫 번째의..
2021.12.30 -
한국어 교육 석사 과정 논문 쓰기 - 마지막
안녕하세요 21세기이야기꾼입니다. 논문관련 이야기를 이제 마무리 지어보고자합니다. 그럼 여러분들께 하지 않았던 이야기 바로 서론과 이론적 배경 관련하여 정리를 해보고자 합니다. 1. 서론의 함정에 빠지지 말라는 말은 서론을 아예 손 놓고 있으라는 말이 아닙니다. 제가 논문을 쓰면서 가장 주의해야할 부분으로 서론의 함정에 빠지지 말라는 것을 꼽았습니다. 이는 서론만 쓰다가 완료 시점을 앞두고 더 중요한 부분에 신경 써야할 때 신경쓰지 못하는 것을 우려하여 말씀드린 것이지 아예 쓰지도 말라고 하는 것은 아님을 밝힙니다. 서론을 접근하는 방법을 쉽게, 쉽게 보자면 보통 거시적인 배경-보통은 시대적 당위성을 제시하죠-을 언급한 후, 현재 연구의 부족함을 어필하며, 본고의 연구의 당위성을 제시하면서 시작을 한다고..
2021.12.11 -
한국어 교육 석사 과정 논문 쓰기 10부-초록은 미리
안녕하세요 21세기이야기꾼입니다. 오늘은 논문 작업에서 은근히 놓치는 부분인 초록에 대해서 이야기해보고자 합니다. 1. 초록으로 여러분의 연구를 담아낼 수 있어야합니다. 초록은 쉽게 생각한다면 논문 시작 전 해당 논문이 어떤 내용일 것이라는 것을 간략하게 보여주는 것이라고 생각하시면 편합니다. 그런데 들어가는 내용은 생각보다 많습니다. 연구의 필요성, 목적, 이론적 배경, 연구 방법, 연구 결과, 결론 등의 내용이 국문 초록에 다 들어가야합니다. 보통 A4용지 한 장 조금 안되는 분량으로 압축해서 작성해야하기 때문에 생각보다 미리 준비를 해두시는 것이 좋습니다. 2. 영문 초록의 경우 반드시 검수를 확실하게 해야 합니다. 국문 초록이 앞에 실린다면 영문 초록은 뒤에 실리는 것이 일반적인데요 국문 초록과 ..
2021.1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