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교육(6)
-
논문주제 생각해보기-여러분이 하고싶은 한국어교육은 어떤 분야인가요?
안녕하세요 21세기이야기꾼입니다. 오늘은 자료나, 기사, 데이터, 인용이 곁들여진 포스팅보다는 제 생각을 자유롭게 이야기해보고자 합니다. 물론 이런 생각을 하다보면 여러분이 하고 싶은 논문 주제에 대해서도 방향을 찾을 수 있기"도" 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에 대한 풀이는 어디까지나 이해를 위하여 다소 극단적으로 쉽게 표현된 부분이 있을 수 있음을 미리 밝힙니다. 1. 특수 목적 한국어 학습자 vs 일반 목적 한국어 학습자 특수 목적이라면 무엇이 있을까요? 의료, 전문 연구, 대학 진학 등이 있겠죠? 반대로 이렇게 특수한 또는 특정 목적이 있는 것이 아니라 한국의 문화가 좋아서든지, 한국어라는 언어 그 자체가 좋아서라든지 말 그대로 특정한 목적이 없이 배우려는 학습자가 있겠죠? 물론 이렇게..
2022.01.28 -
한국어 교육 석사 과정 논문 쓰기 - 많이 맞아야 단단한 논문이 나옵니다.
안녕하세요 21세기이야기꾼입니다. 오늘은 논문 완성을 위해 여러분들이 많이 맞아야한다는 이야기로 찾아왔습니다. 많이 맞아야한다는 것이 무슨 의미인지 경험을 토대로 풀어보겠습니다. 1. 주위 사람들의 피드백을 무서워하지 마세요. 저도 어려워했고, 망설임이 많긴 했는데 많은 사람에게 보여주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이유 1. 놓치고 있던 논리적 흐름의 오류를 발견할 수 있다. 이유 2. 상대방에게 대답하면서 나의 연구에 대한 정리를 한 번 더 할 수 있다. 이유 3. 논리적 오류 뿐만 아니라 오,탈자도 확인할 수 있다. 이유 4. 논의를 통해 보다 나은 연구 자료를 확인할 수 있다. 저는 이렇게 네 가지 정도로 꼽을 수 있다고 보고 이유 1과 이유 2가 정말 중요한 점이라고 생각합니다...
2022.01.09 -
한국어 교육 석사 과정 논문 쓰기 5부-서론의 함정에 빠지지 마세요
안녕하세요 21세기이야기꾼입니다. 오늘은 주제가 정해지고 논문을 작성할 때 많이들 하는 실수 아닌 실수를 말씀드리고자 합니다. 1. 서론의 함정에 빠지지 마세요 논문을 써야하니까 서론부터 쓰게 될 겁니다. 그런데 조금만 침착하게 생각해보죠 서론은 보통 연구의 목적, 필요성을 언급합니다. 여러분들은 이미 연구 논문 주제를 잡으면서 여러 선행연구들을 보셨을 것이고, 그것들을 토대로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이 어느정도 머릿속에서 정리가 되어있으실 겁니다. 그렇다는 것은 서론은 이미 어느정도 끝났다는 것이죠. 다만 타이핑이 되어있지 않은 상태일 뿐이죠. 그렇다면 여러분이 먼저 작성해야할 부분은 어디일까요? 2. 연구 결과가 나왔다면 바로 연구 결과 파트와 결론부터!!! 바로 연구결과부터 작성하시기를 추천합니다. ..
2021.11.19 -
한국어교육 석사과정 논문쓰기 3부-연구 주제는 꾸준히 공부한 자가 찾을 수 있습니다.
여러분이 한국어 교육 석사 과정에 들어왔다면 수료가 아닌 졸업을 하기 위해서는 논문을 쓰셔야 합니다. (논문을 쓰지 않고 마지막 학기에 수업을 들어서 졸업하는 방법도 있지만 저는 힘들더라도 논문을 쓰는 것을 추천합니다) 문제는 논문을 쓰는 것은 둘째치고 바로 주제를 어떻게 잡아야하냐는 것이겠죠 사실은......... 무조건적인 정답은 없습니다. 뭐가 됐든 선행연구들을 보시고, 비판적인 시각으로 접근을 하는 방법밖에요... 논문 주제를 잡기 위해서는 선행연구를 봐야합니다. 물론!!!! 여러분이 관심이 있는 분야에 대한 선행연구죠 주제를 찾기위해 선행 연구들을 보신다면, 너무 오래 전의 연구들은 추천하지 않습니다. 오래된 연구의 경우 해당 분야의 연구의 역사로서의 의의는 있겠지만........... 저는 개..
2021.11.16 -
한국어교육 석사과정 논문 쓰기-글쓰기 연습으로 시작
안녕하세요 이야기꾼입니다. 오늘은 대학원 과정에서 주의해야할 것들을 이어서 진행하겠습니다. 영역 별 이수학점을 확인하셨다면 이번에는 바로 글쓰기입니다. 여러분들께서는 얼마나 많은 글을 “써보셨나요?” 많이 읽어보셨다면 그것도 쓰는 것에 도움이 되겠지만 여러번 쓰는 것만큼 글쓰기에 도움이 되는 것은 없죠 갑자기 웬 글쓰기인가 싶죠? 여러분은 대학원을 “수료”가 아니라 “졸업”을 하셔야합니다. 몇몇 특수대학원의 경우 논문을 쓰지 않고도 졸업을 할 수 있는 방법이 있지만 개인적으로는 힘들고 어렵더라도 논문을 쓰고 졸업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논문을 쓴다는 것은 단순히 글 하나를 쓰는 것이 아니라 대학원 과정에서 연구한 것들을 “논리적인”흐름에 따라 “양식에 맞게” 작성을 하고, 그것을 토대로 다른 연구원들과 소..
2021.11.13 -
한국어교육의 시작 - 국어교육? 한국어교육?
한국어교육 열풍이 대단하죠? 한국어에 대한 관심은 지속적으로 있었지만 이전과 달리 최근에 한국어에 대한 관심이 폭발하게 된 계기로는 "BTS의 인기와 넷플릭스 오징어게임" 이 두 가지를 꼽아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물론 그 이전부터 꾸준히 한국어교육을 위해 노력해오신 우리 한국어교원분들의 피땀어린 노력이 밑바탕이 되어있다고 볼 수 있죠. 그런데 한국어교육에 이제 막 관심이 생기신 분들은 이런 열풍에 따라 나도 한국어교원 자격증을 준비한다면 실제 그 과정에서 생각보다 어려움을 겪을 수도 있습니다. 우선 한국어교육이란 무엇인지 생각해봐야할 것입니다. 국어교육은 무엇이고 한국어교육은 무엇일까요? 너무 깊게 들어가지는 않겠습니다. 아주 간단하지만 중요한 차이라면 바로 학습자에 있다는 것입니다. 국어교육은 모국..
2021.1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