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교원자격(10)
-
한국어 교육 석사 과정 논문 쓰기 - 많이 맞아야 단단한 논문이 나옵니다.
안녕하세요 21세기이야기꾼입니다. 오늘은 논문 완성을 위해 여러분들이 많이 맞아야한다는 이야기로 찾아왔습니다. 많이 맞아야한다는 것이 무슨 의미인지 경험을 토대로 풀어보겠습니다. 1. 주위 사람들의 피드백을 무서워하지 마세요. 저도 어려워했고, 망설임이 많긴 했는데 많은 사람에게 보여주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이유 1. 놓치고 있던 논리적 흐름의 오류를 발견할 수 있다. 이유 2. 상대방에게 대답하면서 나의 연구에 대한 정리를 한 번 더 할 수 있다. 이유 3. 논리적 오류 뿐만 아니라 오,탈자도 확인할 수 있다. 이유 4. 논의를 통해 보다 나은 연구 자료를 확인할 수 있다. 저는 이렇게 네 가지 정도로 꼽을 수 있다고 보고 이유 1과 이유 2가 정말 중요한 점이라고 생각합니다...
2022.01.09 -
한국어 교육 석사 과정 논문 쓰기 - 외전
안녕하세요 21세기이야기꾼입니다. 한국어 교육 석사 과정 논문 쓰기 외전으로 오랜만에 인사드립니다. 외전이라고 썼지만 그동안 논문 쓰기 컨텐츠를 작성하면서 놓쳤던 부분을 다뤄보거나, 제가 논문 썼을 때의 경험을 이야기를 해보는 시간을 가져보려고 합니다. 외전이 또 몇 부작으로 갈지는 모르겠지만 그래도 최대한 재미있게 작성해보겠습니다. 1. 각주에는 무엇을 어떻게 쓰면 되는가 여러분들이 선행 연구들을 보시다 보면 여러가지 각주 내용들을 보셨을 것입니다. 첫 번째로는 해당 문구의 출처를 적을 때도 있고, 두 번째로는 해당 문구에 대하여 연구자 본인의 생각을 자유롭게 쓰는 경우도 있죠. 세 번째는 본문에 싣기는 모호하지만 연구자 본인이 그래도 언급을 하는 것이 좋다고 판단할 경우를 들 수 있습니다. 첫 번째의..
2021.12.30 -
한국어 교육 석사 과정 논문 쓰기 - 마지막
안녕하세요 21세기이야기꾼입니다. 논문관련 이야기를 이제 마무리 지어보고자합니다. 그럼 여러분들께 하지 않았던 이야기 바로 서론과 이론적 배경 관련하여 정리를 해보고자 합니다. 1. 서론의 함정에 빠지지 말라는 말은 서론을 아예 손 놓고 있으라는 말이 아닙니다. 제가 논문을 쓰면서 가장 주의해야할 부분으로 서론의 함정에 빠지지 말라는 것을 꼽았습니다. 이는 서론만 쓰다가 완료 시점을 앞두고 더 중요한 부분에 신경 써야할 때 신경쓰지 못하는 것을 우려하여 말씀드린 것이지 아예 쓰지도 말라고 하는 것은 아님을 밝힙니다. 서론을 접근하는 방법을 쉽게, 쉽게 보자면 보통 거시적인 배경-보통은 시대적 당위성을 제시하죠-을 언급한 후, 현재 연구의 부족함을 어필하며, 본고의 연구의 당위성을 제시하면서 시작을 한다고..
2021.12.11 -
한국어 교육 석사 과정 논문 쓰기 10부-초록은 미리
안녕하세요 21세기이야기꾼입니다. 오늘은 논문 작업에서 은근히 놓치는 부분인 초록에 대해서 이야기해보고자 합니다. 1. 초록으로 여러분의 연구를 담아낼 수 있어야합니다. 초록은 쉽게 생각한다면 논문 시작 전 해당 논문이 어떤 내용일 것이라는 것을 간략하게 보여주는 것이라고 생각하시면 편합니다. 그런데 들어가는 내용은 생각보다 많습니다. 연구의 필요성, 목적, 이론적 배경, 연구 방법, 연구 결과, 결론 등의 내용이 국문 초록에 다 들어가야합니다. 보통 A4용지 한 장 조금 안되는 분량으로 압축해서 작성해야하기 때문에 생각보다 미리 준비를 해두시는 것이 좋습니다. 2. 영문 초록의 경우 반드시 검수를 확실하게 해야 합니다. 국문 초록이 앞에 실린다면 영문 초록은 뒤에 실리는 것이 일반적인데요 국문 초록과 ..
2021.12.05 -
한국어 교육 석사 과정 논문 쓰기 9.5부 - 같은 그림 다른 퀄리티
안녕하세요 21세기 이야기꾼입니다. 오늘은 짧고 간단하게 이야기하고 가겠습니다. 지난 포스트에서 표와 그림을 잘 활용하라고 말씀을 드렸었죠? 그래서 여러분이 여러 논문이나 원서를 확인하시다 인용을 하기 위해 그 논문의 그림이나 표를 가져와서 그림을 싣고 하단에 [그림N] 항목 표기를 하고 간단한 설명 및 출처를 적었다고 가정을 해보죠 1. 선명도가 논문의 퀄리티를 올려줍니다. 그런데 그 표와 그림이 흐릿하다면.......? 여러분! 여러분이 본 그림이나 표는 모니터를 통해서 보는 것이지만 종이에 실린다는 것을 잊지 마세요 즉 여러분이 작업하면서 괜찮았던 표나 그림이 인쇄를 해서 보니 흐릿하다면 그것들을 다시 재작업을 하셔야합니다. 어떻게요? 수작업입니다. 고화질 버전을 다운 받을 수 없다면 여러분이 최대..
2021.12.03 -
한국어 교육 석사 과정 논문 쓰기 8부 - 행정절차의 중요성
안녕하세요 21세기이야기꾼입니다. 이제 논문 관련 이야기도 거의 막바지에 다다랐습니다. 오늘은 논문에 대해 다른 시각에 대해서 이야기해보고자 합니다. 1. 논문을 쓰는 과정은 연구, 제출하는 과정은 행정 논문은 기본적으로 연구가 맞습니다. 단 학위 졸업 논문일 경우에는 100%정답이라고 볼 수는 없습니다. 왜냐하면 여러분은 논문을 제 때에 제출하지 못하면 졸업을 하실 수 없기 때문이죠 즉 이 마감 기한을 지켜서 제출까지 완성하는 것도 여러분이 하셔야할 과정입니다. 보통 이 과정은 연구보다는 행정적인 과정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물론 지도교수님의 컨펌을 받아야하는 과정이 있지만...... 그건 나중에 다루겠습니다) 여러분이 지도교수님께 최종 컨펌을 받았다면 보통은 다음과 같은 절차를 밟으시게 될 겁니다...
2021.1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