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94)
-
애플실리콘 전환은 이제 절반이 지났을 뿐이다(1부)- M1 Pro, M1 Max 칩 분석
안녕하세요 21세기이야기꾼입니다. 오늘은 지난 10월 공개된 M1 Pro, M1 max 칩에 대하여 이야기를 해볼까 합니다. (총 3부로 나눠서 쓸 예정이지만 더 늘어날 수도 있습니다.) 지난 WWDC2020에서 애플은 인텔 칩을 버리고 자사 설계의 애플 실리콘으로 이주함을 밝히고 모든 시리즈를 이주하는 기간을 2년으로 잡았습니다. 그리고 그 해 말 M1칩 기반의 맥북 에어, 13인치 맥북 프로, 맥미니가 공개되었고 2021년 상반기 M1 기반 24인치 아이맥이 공개되었죠. 그리고 애플실리콘 이주를 밝히고 나서 1년이 지난 시점에 애플은 M1 Pro, M1 Max 기반의 프로를 위한 프로 라인업을 공개했습니다. 8코어(성능4+효율4) CPU, 8코어 GPU를 탑재한 M1 칩을 베이스로 하여 M1 Pro ..
2021.11.14 -
생애 첫 맥북 사용기 - 영상편집 프로그램: 아이무비
안녕하세요 이야기꾼입니다. 오늘은 지난 개러지밴드 연습에 이어서 아이무비 활용으로 찾아왔습니다~!! 일반 윈도우 PC에서 대표적인 영상편집 프로그램을 꼽으라면 어도비의 프리미어 프로가 있죠 애플의 Mac OS에서는 대표적인 영상편집 프로그램으로 파이널컷프로를 꼽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번 포스팅에서 소개할 프로그램은 아이무비입니다. 파이널컷프로와 프리미어프로가 유료로 사용할 수 있다면 아이무비는 맥북을 사면 자동으로 설치가 되어있습니다. 즉 무료라는 것이죠!!! 저는 맥북을 처음 다뤄보는 것이기 때문에 프로용 프로그램들을 아직 구입하지 않았습니다. 일단 무료로 제공하는 어플들을 충분히 활용하고 그 다음에 사도 늦지 않겠다는 생각이 들었기 때문이죠 파이널컷프로가 전문가들을 위한 것이라면 아이무비는 입문자..
2021.11.13 -
한국어교육 석사과정 논문 쓰기-글쓰기 연습으로 시작
안녕하세요 이야기꾼입니다. 오늘은 대학원 과정에서 주의해야할 것들을 이어서 진행하겠습니다. 영역 별 이수학점을 확인하셨다면 이번에는 바로 글쓰기입니다. 여러분들께서는 얼마나 많은 글을 “써보셨나요?” 많이 읽어보셨다면 그것도 쓰는 것에 도움이 되겠지만 여러번 쓰는 것만큼 글쓰기에 도움이 되는 것은 없죠 갑자기 웬 글쓰기인가 싶죠? 여러분은 대학원을 “수료”가 아니라 “졸업”을 하셔야합니다. 몇몇 특수대학원의 경우 논문을 쓰지 않고도 졸업을 할 수 있는 방법이 있지만 개인적으로는 힘들고 어렵더라도 논문을 쓰고 졸업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논문을 쓴다는 것은 단순히 글 하나를 쓰는 것이 아니라 대학원 과정에서 연구한 것들을 “논리적인”흐름에 따라 “양식에 맞게” 작성을 하고, 그것을 토대로 다른 연구원들과 소..
2021.11.13 -
M1 PRO, M1 MAX 기반의 맥북프로 구매 가능!!!!
드디어 오늘 오전, 애플 맥북의 프로다운 프로라인업인 14인치, 16인치 맥북 프로 예약이 진행되었습니다. 우리나라는 1차 출시국이 아니어서 다소 늦게 예약을 받게 되었지만 쿠팡이나 11번가에서는 예약 오픈 즉시 품절되었다고 하네요. 저는 얼마 전에 M1 맥북 에어를 사서 쓰고 있는데 흠..................... 열심히 또 돈 모아서 프로 라인업 맥북을 사도 아깝지 않을 정도로 실력을 키워보겠습니다!! 이번 M1 PRO, M1 MAX칩 기반의 맥북 프로 성능은 유튜브에서 많이 확인하실 수 있으므로 여기서 스펙까지는 다루지 않도록 하겠습니다. 유튜브에 정말 정말 많이 찾아서 보실 수 있어요!! 저도 영상들을 많이 봤는데 정리하자면 말 그대로 프로를 위한 프로 라인업, 특히 영상 작업에는 최적화..
2021.11.12 -
이야기꾼이 정리해보는 주간 한국어 관련 뉴스
안녕하세요 이야기꾼입니다. 지난 포스트에서는 대학원으로 한국어교원자격증을 준비하시는 분들이 절대로 놓쳐서는 안되는 내용들을 다뤘는데요 오늘은 한 주 간 한국어 관련 주요 뉴스들을 다뤄보겠습니다. 지난 목요일이죠? 한국어 기원에 대하여 뉴스를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그간 알타이어족에서 시작했다는 관점이 주류를 이루고 있었는데 이번에 9천년 전 중국 동북부 요하의 농경지가 한국어의 뿌리라는 주장이 나왔습니다. 한국어의 기원에 대해서는 아직까지도 명확하게 이론으로 굳어지지는 않았기 때문에 이번 주장은 과연 어떤 반향을 일으킬지 귀추가 주목됩니다. 이 부분은 나중에 국어사(國語史)를 간략하게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런 중요한 내용을 간략하게 다루는 게 더 어려운 거 아시죠…?? ㅠㅠ) 다음으로는 한국어말하기..
2021.11.12 -
한국어교원자격증-대학원 과정으로 준비할 경우 유의해야할 사항
안녕하세요 21세기이야기꾼입니다. 저번 포스트에서 말씀드렸던 것처럼 오늘은 대학원 과정을 통해 한국어교원자격증을 취득을 하려는 분들에게 유용하게 다가갔으면 좋겠습니다!! 대학원은 크게 일반대학원과 교육대학원(특수대학원)으로 나뉩니다. 여러분들이 대학원을 가신다면 석사과정으로 시작하게 되실 텐데요. 일반대학원은 “한국어학”, 교육대학원은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 이런 식으로 전공 명칭이 나타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물론 학교마다 세세한 명칭은 다를 수 있습니다) 전공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이 일반대학원과 교육대학원의 차이를 어느정도 가늠하실 수 있으신가요?? 한국어학-외국어로서의 한국어에 대하여 공부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학-외국어로서의 한국어를 어떻게 가를칠 것인가에 대하여 공부 또한 교육대학원의 경우 ..
2021.1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