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94)
-
애플 실리콘 전환은 이제 막 절반이 지났을 뿐이다 3부-맥프로, 맥미니
안녕하세요 21세기이야기꾼입니다. 오늘은 맥프로와 맥미니에 대하여 이야기해보겠습니다. M1 맥미니가 있는데 맥프로와 같이 묶인 것에 궁금증이 생기실 수 있는데요 맥프로를 이야기하면서 왜 같이 묶일 수밖에 없는지를 이야기해보겠습니다. 말 그대로 맥프로는 애플 데스크톱의 최정점 라인업입니다. 맥프로는 현재까지 총 3가지 모델로 출시되었는데요 -파워PC에서 인텔로 넘어가던 시기에 나온 맥프로(2006~2012) -속칭 연탄 맥프로(2013~2019) -맥프로(2019~) 특히 가장 말이 많았던 맥프로는 바로 2세대 맥프로였는데 디자인을 위해 모든 것을 희생했다고 봐도 될 정도였습니다…. (그렇다고 디자인이 아주 예뻤다고 할 수도…..) 이후 2019년에는 완전히 새롭게 디자인된 맥프로를 다시 공개하게 됩니다...
2021.11.17 -
한국어교육 석사과정 논문쓰기 3부-연구 주제는 꾸준히 공부한 자가 찾을 수 있습니다.
여러분이 한국어 교육 석사 과정에 들어왔다면 수료가 아닌 졸업을 하기 위해서는 논문을 쓰셔야 합니다. (논문을 쓰지 않고 마지막 학기에 수업을 들어서 졸업하는 방법도 있지만 저는 힘들더라도 논문을 쓰는 것을 추천합니다) 문제는 논문을 쓰는 것은 둘째치고 바로 주제를 어떻게 잡아야하냐는 것이겠죠 사실은......... 무조건적인 정답은 없습니다. 뭐가 됐든 선행연구들을 보시고, 비판적인 시각으로 접근을 하는 방법밖에요... 논문 주제를 잡기 위해서는 선행연구를 봐야합니다. 물론!!!! 여러분이 관심이 있는 분야에 대한 선행연구죠 주제를 찾기위해 선행 연구들을 보신다면, 너무 오래 전의 연구들은 추천하지 않습니다. 오래된 연구의 경우 해당 분야의 연구의 역사로서의 의의는 있겠지만........... 저는 개..
2021.11.16 -
애플 실리콘 전환은 이제 절반이 지났을 뿐이다 2.5부-전력 대비 성능
안녕하세요 21세기이야기꾼입니다. 애플의 M1칩 기반의 하드웨어 관련해서 이야기를 해왔는데 오늘은 잠깐 다른 이야기를 해볼까 합니다. 바로 전성비인데요 전력 대비 성능으로서 이는 애플이 애플실리콘으로의 이주를 밝히고 나서 처음으로 M1칩이 발표될 때도 저전력으로 고성능을 낼 수 있다고 강조했죠. 그리고 이번 M1 Pro, M1 Max 발표 때에는 아예 대놓고 성능의 정의를 전력 대비 성능으로 본다고 언급했습니다. 저 위의 사진은 CPU비교인데 보면 가로 축은 전력 소비량이고 세로 축은 성능입니다. M1과 M1 Pro, M1 Max를 보시면 각각 비슷한 라인업의 칩들과 비교했을 시 더 적은 전력으로 더 높은 성능을 낼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위의 사진은 GPU의 소비전력 대비 성능을 보여주는 그래프..
2021.11.16 -
애플 실리콘 전환은 이제 절반이 지났을 뿐이다 2부-아이맥, 아이맥 프로
안녕하세요 21세기이야기꾼입니다. 애플의 대표적인 데스크탑 라인업으로 아이맥과 맥프로 라인업이 있죠 그리고 그 중 아이맥 라인업은 21.5인치 아이맥, 27인치 아이맥이 있었고 그보다 더 상위 격인 아이맥 프로가 있었죠. 아이맥 라인업을 가장 잘 설명해주는 문장이 있습니다. "모니터를 사면 컴퓨터가 따라온다." 특히 27인치 아이맥의 경우 5K의 고해상도 디스플레이가 있었는데 여기에 고성능 CPU, GPU가 탑재되어있기 때문이었죠. 애플의 M1 시리즈가 공개된 후 2021년 상반기 아이맥이 발표되었습니다. 전체적인 디자인은 아이패드 프로, 아이폰 12 라인업같이 전반적으로 플랫한 디자인을 채택하였습니다. 여러가지 색을 선택할 수 있게 됐는데 이는 마치 과거 아이맥G3의 M1버전이라고 느껴질 정도였습니다...
2021.11.16 -
한국어능력시험(TOPIK)이란?
안녕하세요. 21세기이야기꾼입니다. 오늘은 한국어능력시험에 대하여 간단하게 이야기해보고자 합니다. KBS한국어능력시험이 아닌 토픽(TOPIK)에 대한 이야기를 해볼까 합니다. 외국인 학생들이 우리나라 대학에 들어가기 위해서는 일정 수준 이상의 토픽 급수가 있어야 할 정도로 공신력이 있는 시험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최근에 큰 변화가 있었죠? 바로 토픽 말하기 시험입니다. 토익 스피킹, 오픽 등 영어 말하기 시험들은 한 번쯤 들어보셨을 겁니다. 아직은 시범단계이지만 정식으로 진행된다면 의사소통 능력을 검증하는 기준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1차 시범 시험은 지난 10월 23일에 진행되었으며 2차 시범 시험은 12월 18일에 진행될 예정입니다. 2차 시범 시험 모집은 11월 15일부터 26일까지라..
2021.11.15 -
한국어교육 석사과정 논문쓰기 2부-커뮤니케이션도 요령이다
안녕하세요 21세기이야기꾼입니다. 오늘은 석사과정 2부로서 커뮤니케이션과 관련한 이야기를 해보려고 합니다. 누구와의 커뮤니케이션일까요? 바로 지도교수님과의 커뮤니케이션입니다. 해당 교수님을 보고 대학원을 지원했을 수도 있고 대학원에 와서 지도교수님을 선택할 수도 있지만 지도교수님이 계시다면 여러분의 논문은 지도교수님과의 커뮤니케이션 없이 독단적으로 진행될 수는 없습니다. 주제 설정부터 연구 설계, 연구 방법 등 여러분의 논문과 관련하여 모든 것들을 지도교수님과 의논을 해야합니다 그럼 무엇이 커뮤니케이션 요령인지 궁금해지겠죠? 당연하지만 의외로 잘 안지켜지는 것들입니다. 바로 대뜸 "교수님 논문 확인 부탁드립니다"식의 무턱대고 요청하는 것이죠. 여러분의 교수님은 바쁩니다. 그런데 무엇을 봐달라고 하는지, ..
2021.1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