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94)
-
한국어 교육 석사 과정 논문 쓰기 7부 - 논문답게 논문 쓰기
안녕하세요 21세기이야기꾼입니다. 오늘은 논문답게 논문 쓰는 것에 대하여 이야기해보고자 합니다. 충분히 선행연구들을 보셨고, 연구 결과까지 나왔다면 이제 여러분은 논문을 쓰셔야합니다. 어디서부터요? 연구 결과와 결론부터죠 연구 결과까지 나왔는데 서론부터 쓰는 실수는 범하지 않으시길 바랍니다!! 그럼 바로 시작하겠습니다. 1. 연구방법, 연구 결과-결론-서론,이론적 배경 순으로 정리를 추천합니다 이유는 바로 서론의 함정에 빠지지 않기 위함입니다. 여러분은 이미 선행 연구들을 다 정리하셨을 것이고 여러분의 연구를 위한 이론적 배경과 연구 방법이 정리가 되어있는 상황일 것입니다. 그러면 연구 결과가 나왔을 때 바로 작성해야할 것은 연구 방법, 연구 결과, 결론 이 세 파트입니다. 앞 부분은 이미 여러분의 머릿..
2021.11.26 -
생애 첫 M1 맥북 에어 사용기 - iMovie & Keynote
안녕하세요 21세기이야기꾼입니다. 오늘은 맥을 사면 기본으로 깔려있는 영상편집 프로그램인 iMovie와 프레젠테이션용 어플인 Keynote를 활용하여 연습을 해봤습니다. 1. iMovie는 직관적이다. 하지만 제공되는 것들만 사용할 수 있다. iMovie는 저처럼 영상편집을 막 입문한 사람들에게는 직관적이어서 익히기 쉽다는 장점이 있습니다(무료인 것도 장점이죠) 하지만 자막 관련해서 이야기하게 되면 약간 달라지는데요 자막 관련 여러 템플릿이 있지만 문제는 그 템플릿을 사용하여 자막을 만들 경우 자막의 위치를 바꿀 수 없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그래서 Youtube를 통해서 알아 본 결과 Keynote를 활용하면 우리가 보는 일반적인 중앙 하단에 위치한 자막을 만들 수 있다는 것을 보고 따라해보기로 마음먹었..
2021.11.25 -
한국어 교육 석사 과정 논문 쓰기 6-2부 - 학위 논문 활용하기
안녕하세요 21세기이야기꾼입니다. 오늘은 학위논문 활용법에 대하여 간단하게 설명해드리고자 합니다. 바로 시작하겠습니다. 1. 학위 논문은 잘 사용하면 좋지만 그렇지 않을 경우 독!!! 전의 포스트에서 되도록이면 학술지 논문을 많이 참고하라고 말씀드렸습니다. 그런데 여러분이 논문을 준비하시다 보면 이론적 배경 파트를 단순히 학술지 논문으로만 참고하는게 영 쉬운 일은 아닙니다. 그래서 학위 논문을 보게 되는 상황이 오게 되는데요 교수님들마다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기본적으로 여러분이 석사 학위 논문을 작성하고 있는데 동급의 석사 학위 논문을 참고하여 인용한다는 것은 자칫 여러분이 공부를 덜했다는 인상을 심어줄 수 있습니다. 저는 이전 기수 선배들의 논문발표회에서 특히 석사 학위 논문을 인용한 것을 두고 그 ..
2021.11.24 -
생애 첫 M1 맥북 에어 사용기 - 키노트
안녕하세요 21세기이야기꾼입니다. 오랜만에 M1 맥북 에어 사용기로 찾아왔습니다. 오늘은 키노트를 조금, 정말 조금 연습해봤습니다. 키노트는 MS의 파워포인트에 해당하는 프로그램이죠 평소 애플 특유의 감성을 좋아하는 편이었고 이번에 그것을 저도 좀 활용해보고자 키노트를 통해 이런저런 연습을 해봤습니다. 먼저 시도해보려고 했던 것은 바로 이 템플릿이었습니다. 1. 일단 부딪혀보기! 위의 사진은 원래 기본 테마에서 텍스트만 바꿔본 사진입니다. 그리고 이것을 따라해보기 위해 기본 흰 바탕의 슬라이드와 검정 텍스트를 불러오고 가장 만만한 배경부터 바꿔봤습니다. 검정 도형을 채워넣고 수직 방향으로 약간의 그라데이션을 넣어봤다. 2. 난관 봉착-텍스트에 그라데이션을 넣어보자 기본 테마에 있는 그라데이션은 사실 촌스..
2021.11.23 -
한국어 교육 석사 과정 논문 쓰기 6-1부 - 재인용? NO! 원서 확인!!
안녕하세요 21세기이야기꾼입니다. 오늘은 논문을 인용하면서 많이 하는 실수 중 하나이며 논문의 퀄리티를 효과적으로 떨어뜨릴 수 있는 방법을 이야기해보겠습니다. 1. 재인용은 되도록이면 피하세요! 제2언어교육, 그 중 한국어교육은 다른 선진국들과 비교하면 비교적 후발주자에 속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반대로 여러분이 참고할 해외 논문은 굉장히 많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어떤 논문을 어떤 키워드로 어디에서 검색해야할지 모른 상황에서 우연히 한 국내 논문에서 마음에 드는 문구를 발견했다고 가정을 해보죠! 가나다(2020)의 연구에서 "ABCD(2016)에서는 불안과 학업 성취도가 언제나 부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여주는 것은 아니라고 하였다" 이런 문구를 보았다고 가정을 해보죠. 그럼 여러분이 가나다(2020)..
2021.11.22 -
애플실리콘 M1 Max를 인텔의 12세대 CPU가 능가??
안녕하세요 21세기이야기꾼입니다. 오늘은 얼마 전 발표된 두 칩인 인텔 12세대 엘더레이크와 애플의 M1 Pro/Max의 비교와 관련하여 저의 관점으로 이야기를 해보려고 합니다. 대부분은 뇌피셜이므로 가볍게 봐주시기 바라며 x86 vs arm의 비교까지는 가지 않겠습니다. 오로지 우리 눈에 보이는 겉모습과 결과만을 놓고 쉽게 풀어보겠습니다! 1. 비교군 선택은 적절한가?-데스크톱 CPU vs 모바일 CPU 데스크톱의 경우 반드시 전원이 연결되어있어야만 작동을 합니다. 즉 전기가 안정적으로, 지속적으로 공급이 되어야한다는 것이죠. 이 말은 세팅에 따라서 전기를 더 끌어다 쓸 수도 있고. 적어도 플러그를 빼지 않는 한, 전기 공급 걱정은 할 필요가 없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반면 모바일 랩탑의 경우 물론 전원..
2021.1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