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 12. 11. 23:31ㆍ한국어교육 이야기
안녕하세요 21세기이야기꾼입니다.
논문관련 이야기를 이제 마무리 지어보고자합니다.
그럼 여러분들께 하지 않았던 이야기
바로 서론과 이론적 배경 관련하여 정리를 해보고자 합니다.
1. 서론의 함정에 빠지지 말라는 말은 서론을 아예 손 놓고 있으라는 말이 아닙니다.
제가 논문을 쓰면서 가장 주의해야할 부분으로 서론의 함정에 빠지지 말라는 것을 꼽았습니다.
이는 서론만 쓰다가 완료 시점을 앞두고 더 중요한 부분에 신경 써야할 때 신경쓰지 못하는 것을 우려하여 말씀드린 것이지 아예 쓰지도 말라고 하는 것은 아님을 밝힙니다.
서론을 접근하는 방법을 쉽게, 쉽게 보자면 보통 거시적인 배경-보통은 시대적 당위성을 제시하죠-을 언급한 후, 현재 연구의 부족함을 어필하며, 본고의 연구의 당위성을 제시하면서 시작을 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그 후 여러분들의 연구와 관련된 선행 연구들을 카테고리화하여 정리를 한 후 반드시 이에 대한 여러분의 시각을 보여주셔야합니다. 그리고 나서 앞으로 어떤 식으로 연구를 진행할 것인지에 대하여 간략하게 소개하시면 됩니다.
이 때 연구 방법을 논하는 것은 뒤에 연구 방법을 논의하는 부분이 있으므로 너무 디테일하게는 하지 마세요. 만약 여러분들의 선배들이 쓴 논문들을 보고 서론 부분에서 연구 방법을 논하지 않는다면, 여러분도 서론에서 굳이 자세히 언급하지는 않으셔도 됩니다.
(이 부분은 학교마다 다를 수 있으므로 반드시 여러분들 선배들의 논문 흐름을 참고하시어 진행하시기 바랍니다. 단! 지도교수님의 컨펌이나 피드백이 있다면 거기에 맞춰서 하시는 것을 1순위로 두세요!!!)
2.선행연구와 이론적 배경이 겹치는 부분이 있지만 다르게 풀어내셔야 합니다.
서론에서 선행연구를 다룰 때에는 여러분들이 동의를 할 수도 있고, 비판적인 관점을 보여주셔도 상관은 없습니다. 그 선행연구들이 여러분의 연구 방향성을 잡는 데에 영향을 많이 줬기 때문이죠.
그런데 이론적 배경은 조금 다릅니다. 여러분이 연구를 어떻게 했고, 그래서 어떤 결과가 나왔는데 그 연구 방법이 어떤 것을 바탕으로 진행된 것인지, 어디서 아이디어를 채택한 것인지 근거가 됩니다.
그래서 여러분이 선행연구 파트에서 긍정적으로 보고 다뤘던 연구들과 기타 원서들에서 여러분이 채택한 내용들을 설명하는 부분이 이론적 배경 파트가 됩니다.
그런데 단순히 텍스트로만 나열한다면 뭐가 다른지 구분이 어렵겠죠?
그래서 저는 이론적 배경부터는 표나 그림을 적극적으로 사용하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같은 내용처럼 보일 수 있어도 보다 깔끔하게 정리되어 여러분 연구의 이론적 근거를 뒷받침하실 수 있으실 것입니다.
3.마지막으로 인용 표시, 출처 표기와 더불어 표절 여부 검사는 반드시 신경써주세요.
이것을 소홀히 하면 여러분의 논문은 표절이 될 수도 있습니다. 무에서 유를 창조할 수 있지 않느냐?
네 없어요. 유에서 변형된 유를 만들어내는 것이 대부분 우리의 논문입니다.
그 말은 여러분은 어디서 연구를 보고 마음에 드는 문구가 있어서 그것을 사용하고 싶으시다면 반드시 인용, 출처 표기를 명확하게 해주셔야 한다는 뜻입니다. 여러분이 고생해서 쓴 논문이 표절에 휩싸이면 많이 곤란해질 수 있습니다.
여러분이 검토하시면서 잘 모르겠다면 반드시 여러분 학교의 중앙도서관 홈페이지에서 표절 유사도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어디서 표절 여부가 걸리는지 체크가 되기 때문에 그 부분을 수정하면 되지만, 이것을 그때가 돼서야 하시기 보다 미리미리 표절 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으면 확인하시고, 여러분이 인용 표기, 출처 표기를 놓치신 것이 없는지 반드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마치며....
이렇게 한국어 교원 자격을 석사 과정으로 취득하는 과정에서 논문을 어떻게 쓸 것인지 실제 경험을 바탕으로 올리는 포스팅을 마무리 지으려고 합니다.
다음 포스트는 조금 더 교육과 관련된 부분을 가지고 오려고 하는데 언제가 될지는 모르겠네요
아무래도 교육이라는 분야를 조금 재밌게 설명하는 것이 마냥 쉬운 일은 아니니까요..
논문학기이시거나 논문을 준비하려는 분들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는 시리즈였기를 바랍니다.
모두들 논문 잘 마무리 하시기 바라며 뜻깊은 석사 과정이 되시기를 바랍니다.
한국어 교원 자격증도 얻고요!!!
다음 포스트에서 뵙겠습니다!!!
'한국어교육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어 교육 석사 과정 논문 쓰기 - 많이 맞아야 단단한 논문이 나옵니다. (0) | 2022.01.09 |
---|---|
한국어 교육 석사 과정 논문 쓰기 - 외전 (0) | 2021.12.30 |
한국어 교육 석사 과정 논문 쓰기 10부-초록은 미리 (0) | 2021.12.05 |
한국어 교육 석사 과정 논문 쓰기 9.5부 - 같은 그림 다른 퀄리티 (0) | 2021.12.03 |
한국어 교육 석사 과정 논문 쓰기 9부-표와 그림의 중요성 (0) | 2021.1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