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주제 생각해보기-여러분이 하고싶은 한국어교육은 어떤 분야인가요?

2022. 1. 28. 17:33한국어교육 이야기

반응형

 

안녕하세요 21세기이야기꾼입니다.

오늘은 자료나, 기사, 데이터, 인용이 곁들여진 포스팅보다는 제 생각을 자유롭게 이야기해보고자 합니다.

 

물론 이런 생각을 하다보면 여러분이 하고 싶은 논문 주제에 대해서도 방향을 찾을 수 있기"도" 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에 대한 풀이는 어디까지나 이해를 위하여 다소 극단적으로 쉽게 표현된 부분이 있을 수 있음을 미리 밝힙니다.

 

1. 특수 목적 한국어 학습자 vs 일반 목적 한국어 학습자

특수 목적이라면 무엇이 있을까요? 의료, 전문 연구, 대학 진학 등이 있겠죠? 반대로 이렇게 특수한 또는 특정 목적이 있는 것이 아니라 한국의 문화가 좋아서든지, 한국어라는 언어 그 자체가 좋아서라든지 말 그대로 특정한 목적이 없이 배우려는 학습자가 있겠죠? 물론 이렇게 크게 분류하였다고 해서 한국어 교육의 세부 갈래가 확연하게 달라지지는 않습니다. 논문 주제를 선정하면서 고민하실 내용들 중에 내가 연구하려는 분야의 학습자가 어느 목적이 있는지를 확실히 체크하고 그 다음에 어느 영역을 다뤄볼 것인지를 고민해보시기 바랍니다.

 

2. 문법, 듣기, 읽기, 쓰기, 말하기 그리고....??

보통 대학의 기관에서는 문법과 4개의 기능을 나눠서 가르치고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는 무엇을 위해 연구를 하고 있죠? 바로 한국어교육입니다. 즉 한국어에 관한 것이라면 한국어학 또는 국어학 관련 내용도 생각을 해야겠죠? 통사론(문법), 음운론(발음), 어휘론, 화용론, 의미론 등이 있겠죠. 그럼 여기서 여러분들의 수업 제목이 어떻게 이어지는지 볼까요?

 

여러분이 만약 교육대학원에 들어갔다고 가정하죠. 그렇다면 여러분은 교육론에 대하여 공부를 할 것이고, 문법에 대한 것은 문법교육론이 될 것이며 우리는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이 전공이므로 한국어문법교육론이 될 것입니다. 발음이라면 음운, 음성과 관련된 부분이겠죠. 그리고 여러분은 교육대학원에 다니고 있으므로 한국어발음교육론 이정도가 되겠죠. 화용론과 의미론의 경우 문법과 네 기능에서 구체적으로 다루기보다는 보다는 담화, 맥락과 관련된 부분이어서 여러분이 논문 연구주제로 생각한다면 하실 수는 있을 겁니다. 

 

그런데 이렇게 어떻게 가르칠 것인지에 대한 방법으로 연구주제를 선정하셔도 되고, 교재 분석, 담화 분석, 발음 분석 등 데이터를 갖고 분석하는 방법도 존재하죠. 

 

그래서 여러분은 문법+4개의 영역에 한정되어 연구 논문 주제를 생각하시는 것보다 수업을 들으면서 혹은 이수 과목 리스트를 확인하면서 논문을 검색해보시면서 선행연구를 파악하시어 논문 주제를 빠르게 선정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3. 그래서 논문 주제는 무에서 유를 창조? 아니오!!! 유에서 유를 창조!

이전의 포스팅에서도 말씀드렸지만 정말 새로운 주제, 누구도 다루지 않은 분야의 연구 주제를 찾아냈다면 바로 진행하기보다, 한 번은 침착하게 생각하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왜냐하면 없는 데에는 그만한 이유가 있는 것이기 때문이죠.

 

석사 과정에서 다루기 힘들다거나, 굳이 주제로 해야할 이유가 없는 것들일 수가 있습니다. 특히 전자의 경우는 선행연구들 정리 다 해놨는데 정작 실험 진행을 하는 과정에서 표본을 찾기 어렵다든지, 연구 결과가 생각보다 잘 나오지 않을 수 있습니다. 최악의 경우엔 주제 변경으로까지 이어질 수 있겠죠... 

 

기존의 연구를 토대로 거기서 조금만 비틀어서 생각해서 연구를 진행해보겠다는 생각으로 연구주제를 찾아보시는 것도 추천합니다. 

 

 

오늘의 포스팅은 여기서 마치겠습니다.

말 그대로 극단적으로 간략하게 줄이고 줄인 내용이어서 글의 흐름에서 빈 공간이 많이 느껴질 수 있습니다.

 

쉬어가는 느낌으로 오늘의 포스팅을 올린 것임을 다시 한 번 말씀드립니다.

 

안녕히계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