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4. 5. 04:27ㆍ한국어교육 이야기
안녕하세요 21세기이야기꾼입니다.
오랜만에 인사드립니다.
오늘은 그동안 논문 작성 요령과 관련하여 포스팅을 했는데
이번에는 그래서 그것들을 활용하기 위한 방법과 관련하여 포스팅을 해보고자 합니다.
1. 기말 과제 보고서로 논문 작성 연습을 한다고 생각하십시오
사실 특수대학원을 다니신다면 전공 수업 외에도 교직 수업을 들으셔야하는데, 논문작성과 관련된 수업이 있다면 반드시 꼭 들으시기를 바랍니다. 여러분이 대학원 몇 기에 있든, 들을 수 있다면 무조건 들으시기를 바랍니다. 적어도 안 듣고 쓰는 것 보다는 한 번이라도 듣는 것이 확실히 여러분에게 도움이 될 테니까요
자 여러분! 여러분의 과정이 5학기에 끝난다고 가정하면 매우 높은 확률로 수업은 4학기까지 듣고, 마지막 5학기는 논문 학기가 될 것입니다. 그런데 갑자기 논문 학기에 닥쳐서 논문을 쓰려고 한다면.................그게 참 쉽지 않습니다. 그렇다고 따로 논문 작성을 연습하자니 그것도 사실 일이죠...
하지만!!! 우리에게는 적어도 기회가 많습니다!
바로 학기말 과제로 주어지는 보고서 작성이죠
사실 저도 대학원생이던 당시에는 이것을 기회라고 생각하지 못하고, 그저 빨리 어떻게든 끝내고 싶다는 생각만 가득했었는데 지나고 보니 기말 보고서가 거의 몇 안되는 연습 기회더군요
모든 것을 진짜 논문처럼 목차, 표 목차, 그림 목차들을 갖출 필요는 없겠지만 적어도 논문 형식으로 흐름을 가져가서 쓸 수 있고, 또 교수님들 께서도 그렇게 요구하시므로 이 때가 정말 큰 기회인 것 같더군요. 물론 여러분이 생각하는 연구 주제가 해당 수업과 다를 수는 있지만 자료 취합, 자료 정리, 서지 정보 정리 등을 실제로 해 볼 수 있는 몇 안되는 기회가 될 것입니다.
2. 글을 쓰는 것도 중요하지만 읽고 흐름을 파악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이렇게 연습의 기회를 찾은 것은 좋은데 문제는 그래서 무엇을 참고해서 어떻게 쓰냐는 것이겠죠. 제가 전에 석사학위논문은 여러분의 논문을 위한 인용보다는 다른 방면으로 활용하는 것을 추천드렸었죠. 과제 보고서를 작성하면서 표 목차, 그림 목차까지 따로 만들어야할 필요는 없겠지만 적어도 표와 하단에 표 번호를 붙이는 것은 여러분들의 졸업 논문에서 요구하는 양식으로 진행해보시기 바랍니다. 그림 번호도 말이죠.
그리고 이러한 연습을 하기 전 여러분들이 보고서를 작성하기 위해 본 논문들의 흐름 양상을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이 논문이 왜, 어떤 목적으로 진행되었으며, 어떠한 연구를 참고하였고, 그래서 어떤 연구를 진행하였고, 그것을 통해 어떤 결과를 확인하여 어떠한 결론을 도출하는지를 말이죠.
그리고 이러한 흐름을 파악하여 글을 작성해보시는 연습을 해보시기 바랍니다.
선행연구를 많이 보라는 이야기를 들으시게 될 겁니다. 저도 많이 들었는데 저는 진짜 보기만 했었던 것 같네요.
하지만 이 포스팅을 보신 여러분들이라면 이제 단순히 보는 것이 아니라 글의 흐름을 파악하고 그것을 여러분들의 것으로 만드는 방법을 연습하시기 바랍니다.
오늘의 포스팅은 여기서 마무리하겠습니다.
논문과 관련된 심도있고 자세한 내용을 다룬 글이나 서적은 사실 많습니다.
제가 올리는 논문 관련 포스팅은 말 그대로 여러분이 논문을 작성하면서 겪을 현실적인 난관에 대해 다뤄보는 것이므로 재미있게 봐주셨으면 좋겠습니다.
오늘의 포스팅은 여기서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히계세요!
'한국어교육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논문주제 생각해보기-여러분이 하고싶은 한국어교육은 어떤 분야인가요? (0) | 2022.01.28 |
---|---|
한국어 교육 석사 과정 논문 쓰기 - 많이 맞아야 단단한 논문이 나옵니다. (0) | 2022.01.09 |
한국어 교육 석사 과정 논문 쓰기 - 외전 (0) | 2021.12.30 |
한국어 교육 석사 과정 논문 쓰기 - 마지막 (0) | 2021.12.11 |
한국어 교육 석사 과정 논문 쓰기 10부-초록은 미리 (0) | 2021.1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