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 11. 12. 20:02ㆍ한국어교육 이야기
안녕하세요 이야기꾼입니다.
지난 포스트에서는 대학원으로 한국어교원자격증을 준비하시는 분들이
절대로 놓쳐서는 안되는 내용들을 다뤘는데요
오늘은 한 주 간 한국어 관련 주요 뉴스들을 다뤄보겠습니다.
지난 목요일이죠? 한국어 기원에 대하여 뉴스를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그간 알타이어족에서 시작했다는 관점이 주류를 이루고 있었는데
이번에 9천년 전 중국 동북부 요하의 농경지가 한국어의 뿌리라는 주장이 나왔습니다.
한국어의 기원에 대해서는 아직까지도 명확하게 이론으로 굳어지지는 않았기 때문에
이번 주장은 과연 어떤 반향을 일으킬지 귀추가 주목됩니다.
이 부분은 나중에 국어사(國語史)를 간략하게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런 중요한 내용을 간략하게 다루는 게 더 어려운 거 아시죠…?? ㅠㅠ)
다음으로는 한국어말하기대회 관련 소식입니다.
11월 상반기에는 총 3개의 한국어말하기 대회가 진행되었습니다. 한국과 메콩의 교류 10주년을 기념하는 말하기 대회, 일본 나가노서 진행된 제14회 나가노 한국어 말하기 대회, 튀니지에서 진행된 제10회 한국어말하기 대회가 있었습니다.
각각의 한국어말하기 대회는 해당 국가와 한국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이 자신에게는 어떻게 다가오는지, 어떤 에피소드들이 있었는지를 한국어로 이야기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보다 자세한 뉴스는 각각의 키워드들로 뉴스를 검색하시면 정확하게 파악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어말하기 대회 관련 뉴스는 아예 한 꼭지로 묶는 건 어떨지 고민해봐야함
다음은 다소 어두운 뉴스입니다.
한류열풍과 달리 역사,한국학 예산 지원이 오히려 줄고있다는 소식입니다.
지난 9일 예산안심사에서 한국과 관련된 것을 정책적으로 연구하는 곳들에 대한 예산이 지난 5년동안 줄어들고있다고 합니다.
BTS, 오징어게임 등 한국과 관련된 문화 산업의 흥행은 지속되고 있는 반면
정책적으로 연구해야하는 곳의 예산이 줄어들고 있다는 것은 매우 아쉬운 상황인데요
바로 드라마틱하게 예산이 늘어나지는 않더라도 장기적으로 보고 꾸준히 한국과 관련된 연구에 대한 예산 및 지원이
늘어나기를 바랍니다.
이렇게 한 주 간 한국어 관련 주요 뉴스들을 다뤄봤습니다.
다음 포스팅은 지난 포스팅에 이어서 대학원 과정을 통해 한국어교원자격증 취득 시
지속적으로 신경써야할 부분에 대해서 말씀드리겠습니다.
'한국어교육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어교육 석사과정 논문쓰기 2부-커뮤니케이션도 요령이다 (0) | 2021.11.14 |
---|---|
한국어교육 석사과정 논문 쓰기-글쓰기 연습으로 시작 (0) | 2021.11.13 |
한국어교원자격증-대학원 과정으로 준비할 경우 유의해야할 사항 (0) | 2021.11.11 |
한국어교육의 시작 - 국어교육? 한국어교육? (0) | 2021.11.10 |
안녕하세요. 한국어교육의 소식들을 다루는 공간입니다. (0) | 2021.1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