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 11. 26. 23:02ㆍ한국어교육 이야기
안녕하세요 21세기이야기꾼입니다.
오늘은 논문답게 논문 쓰는 것에 대하여 이야기해보고자 합니다.
충분히 선행연구들을 보셨고, 연구 결과까지 나왔다면
이제 여러분은 논문을 쓰셔야합니다.
어디서부터요? 연구 결과와 결론부터죠
연구 결과까지 나왔는데 서론부터 쓰는 실수는 범하지 않으시길 바랍니다!!
그럼 바로 시작하겠습니다.
1. 연구방법, 연구 결과-결론-서론,이론적 배경 순으로 정리를 추천합니다
이유는 바로 서론의 함정에 빠지지 않기 위함입니다.
여러분은 이미 선행 연구들을 다 정리하셨을 것이고 여러분의 연구를 위한 이론적 배경과 연구 방법이 정리가 되어있는 상황일 것입니다.
그러면 연구 결과가 나왔을 때 바로 작성해야할 것은 연구 방법, 연구 결과, 결론 이 세 파트입니다.
앞 부분은 이미 여러분의 머릿속과 폴더에 정리가 되어있기 때문이죠.
그런데 만약 연구 결과까지 나왔는데 서론부터 쓰기 시작한다면....??
여러분은 계속 선행연구를 찾게되는 늪에 빠지게 됩니다.
쓰면서 어딘가 부족함을 느끼게 되고 그것을 보충하기 위해 계속 선행 연구들을 찾게 되기 때문이죠.
이 부분이 아무 것도 아닌 것 같아도 생각보다 빠져나오는 것이 어렵습니다.
그래서 여러분이 설계한 대로 연구를 진행하고 그에 맞는 결과가 나오면 바로 정리를 하시기 바랍니다.
보통 이 부분부터는 선행연구 인용보다는 여러분이 실행하면서 나온 데이터들을 정리하면서 그것에 대한 의의를 내리는 데에 글을 쓰기 때문에 연구 설계가 제대로 되었고, 결과만 제대로 나온다면 그리 오랜 시간이 걸리지 않을 것입니다.
2. 선행 연구를 나열하지 말고 "분석"하고 "활용"을 해봅시다!!
논문을 쓰면 선행 연구 파트도 중요하지만 이 중요하다는 것을 잘못 이해하여 연구들만 나열하게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제가 논문 관련해서 지속적으로 쓰는 문구가 있죠?
구슬이 서 말이어도 꿰어야 보배다
구슬=선행 연구
꿰다=여러분의 시각으로 선행 연구를 정리하다
즉 단순히 선행연구를 나열하기만 한다면 논문이 아니라 정리, 소개라고 볼 수 있습니다.
선행 연구들을 카테고리화하고, 그에 따른 여러분의 생각이 들어가야합니다.
그래야 여러분이 이러한 선행 연구들을 보고 왜 연구의 필요성이 생겼는지 논리적인 근거를 마련할 수 있기 때문이죠.
인용 문구들도 정리했고, 파일명도 서지 정보에 맞게 했다면 이제 그것들을 여러분이 생각하는 논거에 맞게 카테고리화하여 정리하는 작업이 필요합니다.
그래서 그 카테고리화한 선행 연구들에 대하여 여러분의 의견을 피력하시기 바랍니다.
단!!!! 너무 단언적인 어투는 피해주세요.
말 그대로 단언을 할 경우 반론이 나올 경우 대응하는 것이 생각보다 많이 어렵습니다.
"~라고 볼 수 있다, ~라고 보는 것이 적절해 보인다" 등으로 여러분의 의견을 보이되 단언은 피하시길 바랍니다.
3. 피드백은 먼저 능동적으로 요청해야합니다.
논문을 쓰다 보면 어느 순간 막힘없이 술술 써지게 되는 순간이 있습니다.
하지만 그 때를 조심하시기 바랍니다.
주위의 동기든, 혹은 선배든, 지도교수님이든 피드백을 무조건 받아가면서 논문을 쓰시기 바랍니다.
오,탈자부터 시작해서 논문의 논리적 흐름까지 여러분이 보지 못한 것들을 다른 사람은 보고 조언을 해줄 수 있습니다.
(단, 그것에 여러분의 연구가 흔들려서는 안됩니다.)
지도 교수님의 피드백은 논문을 제출하는 그 순간까지 진행되어야하며
주위 지인의 피드백은 여러분이 도저히 여러분 스스로 문제를 찾지 못할 경우에 부끄럼없이 진행을 해주시기 바랍니다.
그렇지 않으면 나중에 도서관에 제출하거나 제본이 나오고 나서야 틀린 부분을 발견하게 되는 불상사가 생기는 것을 막을 수 있기 때문이죠.
주위 사람들의 피드백을 잘 새겨 듣되, 여러분의 연구 방향이 흔들리지는 않으셔야합니다.
한국어 교육 석사 과정 논문쓰기도 어느덧 마무리를 향해 가고 있네요
다음 포스트에서는 졸업 논문의 행정적인 부분에 대하여 이야기를 해보고자 합니다.
주말 잘 보내세요!!!
'한국어교육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어 교육 석사 과정 논문 쓰기 9부-표와 그림의 중요성 (0) | 2021.12.02 |
---|---|
한국어 교육 석사 과정 논문 쓰기 8부 - 행정절차의 중요성 (0) | 2021.11.30 |
한국어 교육 석사 과정 논문 쓰기 6-2부 - 학위 논문 활용하기 (0) | 2021.11.24 |
한국어 교육 석사 과정 논문 쓰기 6-1부 - 재인용? NO! 원서 확인!! (0) | 2021.11.22 |
이야기꾼의 주간 한국어 뉴스(2021114~20211120) (0) | 2021.1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