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 12. 2. 22:35ㆍ한국어교육 이야기
안녕하세요 21세기이야기꾼입니다.
오늘은 논문을 쓸 때 요령일 수도 있지만 반드시 필요한 부분에 대해서 말씀드리려 합니다.
바로 표와 그림의 활용에 대한 내용입니다.
1. 가독성을 확보할 수 있다
가독성을 확보하는 방법으로 무엇이 있을까요?
같은 내용을 텍스트로만 채울 것인지, 표나 그림으로 정리한 후 후술하여 정리할 것인지 판단을 하셔야합니다.
저는 무조건 후자를 추천합니다.
크게 두 가지 이유를 꼽을 수 있는데요
이유1. 가독성을 확보한다.
이유2. 논문의 분량도 확보한다.
가독성을 확보한다는 건 어떤 의미일까요?
아마 여러분의 논문을 가장 많이 읽는 사람은 지도 교수님일 겁니다. 그렇다면 여러분이 교수님이라고 가정할 때
1. 텍스트로만 있는 논문과 2. 표와 그림으로 잘 정리되어있는 논문
둘 중 어느 논문에 눈이 더 갈까요?
전자의 경우 교수님께서 먼저 말씀하실 내용이라면 표나 그림으로 정리해보라는 말일 겁니다.
즉 여러분의 내용의 퀄리티를 논하기 이전에 가독성이 떨어진다는 것이죠
후자의 경우에는 여러분의 연구 결과를 읽기 쉽게 정리해놨으니 피드백도 더 빠르고 정확하게 받을 수 있겠죠
2. 분량을 확보할 수 있다
전공마다 요구하는 분량이 다를 수 있습니다. 어떤 전공은 몇 페이지 이상은 쓰라고 할 수도 있고,
어떤 전공은 말 그대로 분량이 중요하지 않을 수 있죠.
물론 저 분량은 교수님들께서 말씀하시는 부분이기도 하지만 얼마가 되었든 최소 분량이 주어지면 그것은 채우는 것이 좋습니다.
그럴 때 단순 텍스트들만으로는 그 분량을 채우는 것이 생각보다 쉽지 않습니다.
여러분이 선행연구를 착실히 그리고 많이 정리해놓으셨고, 연구 결과에 대해서도 충분히 정리를 잘 해놓으셨다면 문제되지는 않지만 그래도 많은 것은 많은 것이죠.
그럴 때에는 표나 그림을 적극 활용하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우선 표와 그림을 실을 경우 위, 아래로 공간 확보도 필요하고, 그 다음에 표나 그림만 덩그러니 들어가는 것이 아니라
<표 N>, [그림 N]같이 해당 표나 그림에 대한 설명이 들어가고, 그 다음에 후술을 하기 때문에 생각보다 공간을 차지하는 양이 많습니다. 그리고 한 눈에 여러분이 정리한 내용을 알 수 있죠.
대신 표나 그림도 “잘” 사용하셔야합니다. 이 부분에 대해서는 다음에 말씀드리겠습니다.
오늘은 이렇게 표와 그림의 중요성에 대하여 간략하게 설명했습니다.
다음 포스트에서는 표와 그림을 실을 때에 왜 잘 실어야하는지 말씀드리겠습니다.
'한국어교육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어 교육 석사 과정 논문 쓰기 10부-초록은 미리 (0) | 2021.12.05 |
---|---|
한국어 교육 석사 과정 논문 쓰기 9.5부 - 같은 그림 다른 퀄리티 (0) | 2021.12.03 |
한국어 교육 석사 과정 논문 쓰기 8부 - 행정절차의 중요성 (0) | 2021.11.30 |
한국어 교육 석사 과정 논문 쓰기 7부 - 논문답게 논문 쓰기 (0) | 2021.11.26 |
한국어 교육 석사 과정 논문 쓰기 6-2부 - 학위 논문 활용하기 (0) | 2021.1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