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 11. 17. 22:18ㆍ한국어교육 이야기
안녕하세요 21세기 이야기꾼입니다.
오늘은 지난 번 논문 주제 선정과 관련하여
약간 보충적인 이야기를 해보고자합니다.
연구 주제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선행연구들을 많이 읽어보라고 이야기 드렸었죠??
그런데 문제는 그 연구들 중 무엇을 읽어야 하느냐가 참 어렵습니다.
주제를 선정하기 위해 읽어야 할 논문이 따로 있는 것도 아닌데 무엇을 봐야할까요?
정답은 아니지만 제가 추천하는 방법은
해당 전공의 주요 학회의 학술지 논문을 먼저 확인해보는 것을 추천합니다.
기간은 조금 넉넉하게 5년정도로 두고 그 학회에서 어떠한 주제로 어떤 논문들이 나왔었는지를
확인해보는 것도 방법일 수 있습니다.
학회의 주제들을 보다 보면 해당 전공의 최신 흐름을 어느정도나마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죠
물론 처음부터 여러분들이 하고싶은 연구 주제가 정해져있다면
굳이 그렇게 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다만 대학원에 들어와서 공부를 하다보면 이런저런 논문들을 보게 될 것이고
누군가에게는 막연한 졸업논문주제가 학회나 학술지 논문이 하나의 이정표가 될 수 있기 때문이죠
학위논문은 졸업논문 연구주제 선정 과정에서 보는 것이라면…………
“저”는 추천드리지 않습니다.
물론 학위논문도 활용하는 방법이 있긴 하지만 적어도 지금 단계에서는 아니라는 말씀입니다.
(학위논문 활용 방법은 나중에 말씀드리겠습니다~!)
그래서 학회지에 실린 논문들은 먼저 보시고 그것들을 카테고리화 시켜보시기 바랍니다.
그 다음에 그 중에서 자신만의 시각으로 조금만 다르게 접근할 수 있을 것 같은 주제가 보인다면
그 쪽으로도 잡아보시는 것도 괜찮습니다.
다시 한 번 말하지만 확고하게 연구 주제를 어느 방향으로 잡을 건지 결정하신 분들은
이 방법을 쓰지 않으셔도 됩니다!!
다음 포스트에서는 학위논문 활용 및 인용 구절 정리 및 논문 정리에 대하여 말씀드리겠습니다~!
안녕히 계세요!!
'한국어교육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어 교육 석사 과정 논문 쓰기 5부-서론의 함정에 빠지지 마세요 (0) | 2021.11.19 |
---|---|
한국어교육 석사과정 논문 쓰기 4부-정렬 및 정리의 생활화 (0) | 2021.11.18 |
한국어교육 석사과정 논문쓰기 3부-연구 주제는 꾸준히 공부한 자가 찾을 수 있습니다. (0) | 2021.11.16 |
한국어능력시험(TOPIK)이란? (0) | 2021.11.15 |
한국어교육 석사과정 논문쓰기 2부-커뮤니케이션도 요령이다 (0) | 2021.11.14 |